earticle

논문검색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Career Interrupted Women’s Career Barrie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김정민, 이희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erceived by career interrupted women an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order to verify these question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464 career interrupted women.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areer barrier perceived by career interrupted wome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support for career-interrupted wome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a parameter,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career interrupted wome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stu dy provides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practical support such as fi nding quality jobs, expanding public childcare facilities, and preparing institution al arrangements is needed to resolve career barriers for women with career bre aks. Secon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human and material network system to expand the social support network for career-interrupted women. Third, it is nece ssary to develop re-employment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that suit the situation and re-employment needs of career-interrupted women so that career-interrupted women can establish practical career plans and prepare fo r re-employment.

한국어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이 지각한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 어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재취업 의사가 있어 여성 새로일하기센터, 고용센터, 지역의 복지관 등을 이용하고 있는 전국의 경력단절여성 464 명을 대상으로 SPSS 25.0과 AMOS 25.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여성이 지각한 진로장벽은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력단절여성의 사회적 지지는 진 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단절여성이 지 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영향관계에서 매개변인인 사회적 지지는 부분매개효 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주로 학생들로 한정되어 연구되어왔던 진로 장벽, 진로준비행동, 사회적 지지 간의 영향관계 연구를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확대 하여 관계 결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준비행 동 고취를 위한 실천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진로장벽
2. 사회적 지지
3. 진로준비행동
4. 연구변인 간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측정도구 및 분석방법
4. 측정도구 검증
Ⅳ. 연구결과
1. 연구변인의 기술통계
2. 연구변인 간 상관관계 검증
3. 연구변인 간 영향관계 검증
4.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정민 Kim, Jeong Min. 한국잡월드 대리
  • 이희수 Lee, Hee Su. 중앙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