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Abdominal Massage and Lower Extremity Exercise using Survival Analysis in Rehabilitation Patients of Brain Injury
초록
영어
Constipation is the most common digestive disorder, and it occurs frequently in the early stages and affects the prognosis on rehabilitation stage in the patients with brain inj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bowel habits of brain-injured patients undergoing enteral nutrition immediately after admission to rehabilitation and transmissio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bdominal massage and lower extremity exercise. The study design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bowel care intervention (abdominal massage and lower extremity exercise) applicable to patients with brain les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umber of bowel movem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ntervention group (p =.030), and the use of suppositories in the contro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intervention group (p =.004). The time of constipation relief was 1.73 day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4.61 days for the control group, indicating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ime of constipation relief between the two groups (p <.001). Abdominal massage and lower extremity exercise were effective as nursing interventions to relieve constipation and prevent constipation in patients with brain injury from the early stage of rehabilitation.
한국어
뇌손상 환자는 초기 재활 단계에서 가장 흔한 소화장애로 변비가 발생하며 예후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관영양하는 뇌손상 환자의 재활 치료 입원, 전동 직후부터 배변 습관을 사정하고 복부 마사지와 하지 관절 운동을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설계는 뇌손상 환자에게 배변 간호 중재(복부 마사지와 하지 관절 운동)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 동등성 대조군 시차 연구이다. 연구결과, 배변 횟수는 실험군의 배변 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p =.030), 좌약 사용은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사용 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 =.004). 변비 완화 시점은 실험군은 1.73일, 대조군은 4.61일로 두 군간 변비 완화 시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1). 뇌손상 환자에게 재활 초기부터 배변을 완화시키고 변비를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는 복부 마사지와 하지관절 운동이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목적
3. 연구방법
3.1 연구설계
3.2 연구 대상
3.3 연구 도구
3.4 자료 분석
4. 연구결과
4.1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
4.2 임상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
4.3 집단 간 장 배설 실태비교
4.4 두 집단간 변비 완화 시간에 대한 생존분석
5. 논의
6.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