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생논문

한일관계 편견감소를 위한 시민NGO활동 연구 : 접촉이론 관점의 구글트렌드(Google Trends)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Civil NGO Activities to Reduction of Prejudice in Korea-Japan Relations : Focusing on Google Trends Big Data from a Contact Theory

고기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e 21st century is an era that requires superstate and superreligious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focusing on the universal value of humankind. Pandemic has become the backgroud of transnational cooperation, and there is a consensus that in order for the state to respond quickly and sophisticatedly to the needs of the people, now there is necessary to take off state-centeredness and build a national-civil society network. Korea-Japan relations, which are always suffering from domestic and foreign political backgrounds and historical problems should seek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K-J conflict from the perspective of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civil society NGO channels. This study presupposes a contact theory hypothesis, from Jan2018 to Jan2023, using the Google Trends big data analysis method for 60 months, by measuring the level of public interest related to the K-J conflict, the similar relationship of public preferences is calculated in chronological order. For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case during the period, the effectiveness of continuous mutual contact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groups was investigated by additionally analyzing the media report literatur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study, cases by direct and indirect contact methods served as a medium to increase the level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groups, the effect of reducing prejudice against other groups could be expected if it led to mutual cooperation, not just superficial contact, or to a level of communication to achieve common goal, and the four conclusions were reached below. First, civil society activities can be set up on the agenda for peace discussion in Northeast Asia beyond the political ideologicalization of K-J relations. Second, sustainable development common education and project implementation can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K-J prejudice. Third, the public should recognize the role of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and the private sector should continue to interact regardless of the political situation. Fourth, K-J peace can be developed as a discourse of global citizenship beyond Northeast Asia. Under the above arguments,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reduction of intergroup prejudice in K-J relations from the standpoint that civil society NGO have become the subject of execution.

한국어

21세기 국제사회는 인류 보편의 가치를 중심으로 초국가, 초종교적 상호이해와 소통을 요구하는 시대이다. 전 지구적 팬데믹(Pandemic)은 초국가적 협력의 배경이 되었으며, 국가가 국민의 요구에 민첩하고 정교하게 대응하기 위해선 국가중심주의 를 벗고 국가-시민사회간 네트워크 구축의 길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 다. 국내외 정치적 배경과 역사문제로 인해 늘 부침을 겪는 한일관계 역시 이제는 양국의 시민사회 NGO 채널의 교류와 협력의 관점에서 한일갈등 해법의 근본적 모 색을 해야 할 시점이다. 본 연구는 접촉이론(contact theory) 가설을 전제로 2018년 1월~2023년 1월, 60개월 동안 구글 트렌드(Google Trends) 빅데이터 분석방식을 활 용하여 한일갈등과 관련 된 대중들의 관심도를 측정하여 대중기호의 유사 관계를 시간 흐름순으로 산출하여 해당 기간 구체적인 사건의 내용은 언론보도 문헌연구를 추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내외집단간 지속적인 상호접촉의 효과성 여부를 규명하였 다. 연구결과 직간접적 접촉 방식에 의한 사례들은 집단간 상호이해의 수준을 높이 는 매개로 작용했고, 단순한 피상적 접촉이 아닌 상호간 협력을 유도하거나, 공통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의 소통으로 이어진 경우, 타집단에 대한 편견 감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으며 아래 네 가지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 시민사회 활동은 한일관계 정치적 이념화를 초월하여 동북아시아 평화담론 의제설정이 가능하다. 둘 째, 지속적인 공통의 교육 및 프로젝트 실행은 한일 편견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셋 째, 대중들은 정부와 민간의 역할을 인정하고, 민간부분은 정치적 상황과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교류해야 한다. 넷째, 한일평화는 동북아 지역을 뛰어넘어 세계시민주의 담론으로서 발전 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논점하에 본 고는 시민사회 NGO가 실 행 주체가 된 입장에서 한일관계의 집단간 편견 감소의 유의미성을 고찰해 본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고기훈 Ko, Ki-Hun. 선문대학교 한국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