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집 : 제2부 남한산성 순교사적지의 재발견

남한산성의 형장(刑場)과 천주교 신자들의 죽음

원문정보

The execution ground of martyrs' in Namhansanseung walled fortress and the death of catholics

서종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f the martyrs at Namhansanseung walled fortress, Thomas Han Deog-oon(韓德運) was died a martyr by beheading(斬首刑), Augustinus Seo Tae-soon(徐泰淳) and Lee Jo-yeo(Jong-yeo, 李祖汝) by clubbing(杖殺刑), Paulus Jeong-eun(鄭溵) and Petrus Jeong(鄭) by choking with durable papers(白紙死刑). And Augustinus Kim Man-jip(金萬集) was died a martyr from disease in the prison, Andreas Oh(吳) and John Lee(李) from Namgwangri Joogsan(竹山) by hanging(絞首刑). And the other martyrs who died by unknown method are also seems to have been died for their catholic belief due to torturing, clubbing, hanging, choking with durable papers and disease from torturing. It seems that the executing ground where Thomas Han Deog-oon died by beheading was the even grass field located below the hill, beside the water mill, outer the east gate of Namhansanseung walled fortress. I think that the prison site where many catholics died martyrs was the spot where the stone mark is located within the present rotary parking, that the site where such catholics died during being tortured, clubbed, choked with papers was the site of Joonggun's(中軍) court of law and Pankwan's(判官). Until now in general, developing the martyrs' shrine has been accomplished mainly in ‘the site of beheading(斬首址)’ due to traditional thought that the martyrdom by beheading is the most honorable. But it has nothing to do with the method of dying mainly due to persecutor's purpose or to political circumstances. Therefore we know that the martyr's belief is not accord with the way of executing.

한국어

남한산성에서 처형된 순교자들 가운데 한덕운(토마스)은 참수형으로 순교하였고, 서태순(아우구스티노)과 이조여(종여)는 신문을 받다가 매맞아 순교하였으며, 정은(바오로)과 정 베드로는 백지사형으로 순교하였다. 또한 김만집(아우구스티노)은 옥에서 병으로 순교하였고, 오 안드레아와 죽산 남광리 사람인 이 요한은 교수형으로 순교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인 순교방식을 알 수 없는 나머지 순교자들은 관장에게 신문을 받다가 매맞아 죽거나 백지사형을 받아 죽거나 고문의 후유증으로 옥에서 병사하거나 교수형으로 순교하였다. 신유박해 때 한덕운이 순교한 참수터는 동문 밖 물레방아간 아래쪽에 있는 평평한 너른 밭으로 이해된다. 여러 신자들이 순교한 감옥터는 로터리 주차장 근처의 천일관 옆에 포도청의 위치를 알려주는 표지석이 세워져 있는 지점이고, 신문을 받다가 매맞아 죽거나 백지사형을 받아 순교한 장소는 판관이 집무하던 동헌 뜰과 중군이 집무하던 동헌 뜰, 그리고 유수가 집무하던 동헌 뜰이었다. 순교 성지의 개발은 참수형을 받아 죽는 것을 가장 영광스러운 순교로 인식한 전통에 따라 참수터와 순교자들의 무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참수형, 교수형, 백지사형 등의 순교 방식은 주로 당시의 정치적 상황이나 박해를 단행한 목적에 따라 결정된 것이므로 순교자들의 신심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목차

1. 머리말
 2. 남한산성 순교자들의 순교 방식
 3. 남한산성 순교자들의 순교터
 4. 순교 방식에 대한 인식과 성지 개발
 5. 맺음말
 Abstract

저자정보

  • 서종태 Seo Jong-tae. 한국교회사연구소 연구실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