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레거시미디어와 청와대 국민청원제도의 공중의제 대응방식 및 실효성에 관한 연구 : 의미연결망분석 및 연결망군집분석을 통해

원문정보

Research on the response of public agenda and effectiveness of legacy media and blue house’s ‘People’s Petition System’ :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SNA) and network cluster analysis(CONCOR)

남경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antecedent and causation of the formation process of media agenda and public agenda. With the use of big data, it is essential to statistically verify the ‘reversed agenda setting’ theory suggested in 2006, which deals with the role change of legacy media by comparing the ‘agenda setting theory’ suggested in 1972. As President Moon Jae In’s period ends, this research aims to transform petitions collected from the ‘National Petition Program’ into a data The selected basic structure of this analysis were agendas that were originally not or were poorly addressed by legacy media, but re-handled through the ‘National Petition Program’. Through the process, the agendas were defined into the ‘reversed agenda setting’ process to draw the result of data collected from the petitions, and articles through UClnet, SNA, and CONCOR. According to the research, when the ‘poorly addressed agendas’ developed into public agendas, gaining attention through the ‘National Petition Program’, were rehandled in legacy media. In this process, the research also found out that there is an existing difference in the releases and actual agendas caused by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legacy media. The result statistically proved the ‘reversed agenda setting’ theory raised by Yonghwan Lee (2006) and proved the efficiency of the ‘National Petition Program’. While the conflicts between groups are getting severe due to the media clustering and hate speeches, as we are living in the era of COVID, I hope this research to be analyzed as the chance to reveal how efficiently nations are accepting the public agenda platform led by the government and the importance of ‘National Petition Program’.

한국어

본 연구는 미디어의제와 공중의제 형성과정의 선행 및 인과관계를 고찰하는 연구로, 1972년 의제설정이론(agenda-setting theory)을 토대로 2006년 제시된 레거시미디어(언론)의 의제 선정 역할 변화를 다룬 역의제설정이론(reversed agenda-setting)을 빅데이터를 이용해 검증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나아가 문 재인정부의 임기가 끝남에 따라 ‘국민청원제도’의 주요 청원 내용을 데이터로 풀 어냄으로써 본 제도의 의의 및 실효성을 고찰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분석의 기본구조는 레거시미디어에서 다루지 않았거나, 미비하게 다뤄진 의 제 중 국민청원제도를 통해 다시 한번 활발하게 다뤄진 청원(의제)을 분석 대상 으로 삼았다. 이 과정에서 국민이 발화한 의제가 다시 레거시미디어에서 주요의 제로 다뤄지는 양상을 ‘역의제설정’ 과정으로 정의하고 관련 청원의 내용, 뉴스 기사를 수집해, UCInet를 이용 SNA(의미연결망분석)와 CONCOR(연결망군집분 석)를 통해 분석 및 결과 도출하였다. 추가로 각 레거시미디어사의 정파성에 따 른 보도내용에 차이가 있는지 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4대 주요 언론사의 보도내용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레거시미디어에서 미비하게 다뤄졌던 의제들이 국민청원제도를 통해 재차 화제(동의)를 얻어 공중의제로 발전되었을 때, 레거시미디어 역시 재 차 의제로 선정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 과정에서 레거시미디어 정파성에 따라 보도 내용의 차이가 있음을 역시 확인하였다. 해당 결과를 통해 김성태, 이용환(2006)의 연구에서 주장된 ‘레거시 미디어의 역의제설정’ 현상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그 매개체로써 ‘국민청원제도’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코로나 시대를 거치며 미디어 군집화 현상 및 집단 갈등이 어느 때보다 심각해진 지금, 정부 주도의 공식적인 의제 발화 플랫폼이 국민의 공중의제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수용하고 있는지 볼 수 있는 연 구이자 국민 의제의 중요성을 알리는 작은 계기로서 연구의 결과가 해석되길 바라는 바이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온라인 숙의민주주의의 발전과 레거시미디어의 신뢰도 하락
2) 의제설정이론(agenda setting theory)의 발전과 한계점
3) 역의제설정(reverse agenda-setting theory) 개념의 대두
4) 정책의제와 정책청원
5) 연구문제
3. 연구 방법
1) 1차 분석(역의제설정)
2) 2차 분석(정파성, 보도양상)
3) 분석 방법(의미연결망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연결망군집분석(CONCOR))
4. 분석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남경덕 Gyoungduck Nam. 피알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