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편 : 제1부 남한산성 순교자와 경기 지역의 복음화

《광영계록》의 천주교인 동향보고서 - 남한산성 순교자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report about the trend of ctholics in the book 《Gwangyeonggyelok(廣營啓錄)》 - Mainly in aspect of the Martyrs at Namhansanseung walled fortress -

A report about the trend of ctholics in the book 《Gwangyeonggyelok(광영계록)》 - Mainly in aspect of the Martyrs at Namhansanseung walled fortress -

하성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late period of Choseon dynasty, the extent of jurisdiction of the governor of the province Gwangjoo(廣州) is applicable not only to the city of Hanam(河南), Seongnam(城南), Gangdong-Gu(江東區), Gangnam-Gu(江南區), Seocho-Gu(瑞草區) in Seoul, but also to the Mt. Cheonggye(淸溪山) at the city of Euiwang(儀旺), Mt. Soorisan(修理山) of Anyang(安陽). From the former age of Byeong-in persecution, the authorities ordered to the whole country that every local governors should carry "the low of making one control group composed of five families"(五家作統法) and report about the trend of catholics within their province to the supreme central court Euijeongboo(議政府). This report continued from the year of 1861 to 1875, among them the report of Gwangyeonggyelok(廣營啓錄) meaning the collected reports from the governor in Gwangjoo-boo(廣州府) is very important. The governor of Gwangjooboo(廣州府) reported that he had captured the 23 catholics from the year of 1866 to 1867 in his provinces and examined them, and yet they all died from disease in the prison. But in fact it seems that the major causes of death were being hanged, being choked, being stroke and so on. Therefore I can claim that the deads were allmost martyrs. The martyrs at Namhansanseung are the 22 persons that have been registered their name in the book Gwangyeonggyelok and Hong Seong-guk, John Lee, Lee Chi-jae(李致在), Kim Man-jip(金萬集), Kim Cha-heui(金次熙), Kim Gyeong-heui(金敬熙), Kim yoon-heui(金允熙) and Han Deog-oon(韓德運) who were familiar to us through the record of witness. We can not find the name registered in the book Gwangyeonggyelok through the other documents, so we can not know their lives of belief.

한국어

조선후기 광주유수부의 관할 구역은 현재의 광주시, 하남시, 성남시, 서울의 강동구, 강남구, 서초구는 물론 의왕시의 청계산, 안양시의 수리산까지를 포함하였다. 병인박해 이전부터 정부에서는 천주교 신자의 색출을 위해 오가작통법을 시행하고 각 지방 관아에 천주교 신자의 동향 보고서를 의정부에 보고토록 하였다. 이 보고서는 1861년부터 1875년까지 계속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광영계록》의 보고서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광주부에서는 1866년에 20명, 1867년에 3명, 모두 23명을 체포하여, 홍학주는 서울 포도청으로 압송하고 나머지 22명이 병사하였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실상은 백지사, 교수형, 장살 등이 뒤섞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이분들은 순교자로 볼 수 있다. 남한산성에서 순교한 분은 《광영계록》의 22명과 증언록 등에 그 이름이 기록된 홍성국, 이 요한, 이치재와 구산 출신 김만집, 김차희, 김경희, 김윤희와 신유박해 때의 한덕운 등이다. 《광영계록》에 기록된 순교자의 이름은 다른 문헌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그들의 신앙생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는 전혀 알 길이 없다.

목차

1. 머리말
 2. 남한산성과 광주부의 관할 구역
 3. 교회문헌과 구전으로 알려진 남한산성 순교자들
  1) 남한산성 순교자
  2) 광주지방 순교자
 4. <광영계록(廣營啓錄)>의 천주교인 동향 보고서
  1) 1867년(丁卯)의 보고서
  2) 1868년(戊辰)의 보고서
 5. <광영계록>의 병사자와 남한산성 순교자의 관계
  1) 정은 바오로와 그 재종손 정 베드로
  2) 이화실과 정여삼
  3) 서 아우구스티노와 이종여
  4) 김문집과 김하상, 김성희와 김상희
  5) 그 밖의 인물들
 6. 남한산성 순교자의 처형 문제
  1) 백지사 문제
  2) 장폐, 교수형 문제
 7. 맺음말
 Abstract

저자정보

  • 하성래 Ha Seong-lae. 수원교회사연구소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