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f Classification Analysis about Traffic Conditions Using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초록
영어
In this study, a classific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type of traffic situation. The purpose was to derive the major variable factors that could represent the traffic situation. The TTI(Travel Time Index) was used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raffic conditions, and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ata generally detected by the Vehicle Detecting System(VDS). First,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traffic situation were select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traffic conditions were clustered through a cluster analysis of the major factors. After that, variance analysis for each cluster was performed based on the TTI, and similar clusters were merged to categorize the type of traffic situation. The analysis derived, the maximum queue length and occupancy as major factors that could represent the traffic situa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efficient management of traffic congestion would be possible by just concentrating on the main variable factors that affect the traffic situation.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교통상황을 대변할 수 있는 주요 요인변수 도출을 목적으로 교통상황 유형 에 대해 분류분석을 수행하였다. TTI(Travel Time Index)를 교통상황 판단 기준으로 사용하였고 VDS에서 일반적으로 검지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요인분석을 통해 교통상황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을 선정하였고, 주요인에 대하여 군집분석을 통해 교통상황을 군집화하였다. 그 후 TTI를 기준으로 각 군집별 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유사한 군집을 병합하여, 교통상황 유형을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교통상황을 대변할 수 있는 주요 요인변수로 최대대 기행렬길이와 점유율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방법론을 통해 교통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변수만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교통혼잡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관련 이론 및 연구 고찰
1. VDS 수집 데이터 관련 고찰
2. 혼잡지표 관련 고찰
3. 교통상황 유형 분류 관련 고찰
4. 분류 분석 기법 고찰
5. 시사점 및 연구 차별성
Ⅲ. 연구 방법론
1. 연구 범위
2. 분석 방법론
Ⅳ. VDS 수집 데이터에 따른 교통상황 분류
1. 데이터 셋 분리 및 상관분석
2. 요인 분석
3. 군집 분석
4. 분산 분석
5. 교통상황 분류분석 검증
Ⅴ.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ACKNOWLEDGEMENTS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