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목동문답가>의 서술 방식과 갈등 양상

원문정보

The Descriptive Method and Conflict Aspecs of <Mokdong Mundapga(牧童問答歌)>

이정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iterary meaning of dialogic Gasa, focusing on the descriptive method and the character of the speaker of . In , the first speaker’s question and the second speaker’s answer form a double symmetrical structure in the paragraph composition and logical development method, highlighting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speakers’ heterogeneous viewpoints. This reflects the inner world of the Sadaebu at the time, seriously considered their stance between ‘a life of rising in the world and gaining fame’ and ‘a life contented with one’s means’. As it reveals the ‘Ambivalence’ that gives meaning and value to both ‘Chul(working for the government,出)’ and ‘Cheo(living in seclusion,處)’ which are opposite ways of life, and it would have been enough to draw sympathy and debate from Sadaebu read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ialogic style of clearly expressed the ambivalence of the conflict between Chul(working for the government,出) and Cheo(living in seclusion,處) that the Sadaebu had by building solidly the two speakers’ questions and answers in a double symmetrical structure. However, the literary function of the dialogic style used in the Gasa(歌辭) genre and the literary transformation of the dialogic style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when the dialogic style used in the Gasa appeared in earnest, will be left as a future task of this study.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목동문답가>의 서술 방식과 화자의 성격을 중심으로 대화체 가사 가 지닌 문학적인 의미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목동문답가>에서는 제1 화자의 물음과 제2 화자의 대답이 단락 구성과 논리 전개 방식에서 이중의 대칭 구조를 이룸으로써, 두 화자의 이질적인 가치관에 따른 갈등 양 상이 부각된다. 이는 ‘입신양명’과 ‘안분지족’이라는 삶의 방식 사이에서 진지하게 고민했 던 당시 사대부의 내면 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서로 상반되는 삶의 방식인 ‘출(出’)과 ‘처 (處’)‘ 양쪽 모두에 가치를 부여하는 ‘양가성’을 드러내 주고 있기에 조선 후기 사대부 독자들의 공감과 논쟁을 이끌어내기에 충분했을 것이다. 이 작품이 다양한 이본을 형성 하고 다른 문학 갈래와 사설을 주고받으며 전승되어 온 사실은, 이 작품이 지닌 문학적 가치를 방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목동문답가>의 대화체 진술 방식은 두 화자의 문답을 이중의 대칭 구조로 견고하게 세워 입신양명과 안분지족이라는 상반되는 주장을 팽팽하게 대f 립시켜 사대부의 출처 갈등이 지닌 양가성을 극명하게 표출해낸 것임을 확인하였다. 다 만 가사 갈래에 활용된 대화체가 어떤 측면에서 효과적인지, 대화체 가사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17세기부터 근대 전환기에 이르기까지 문학적으로 어떤 변모를 보여주는지에 대한 검토는 이 연구의 차후 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목차

1. 머리말
2. 대칭적 서술 구조와 화자의 성격
3. 출처에 대한 갈등과 양가성
4.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저자정보

  • 이정숙 Lee Jeongsook. 한남대학교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