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Auxiliary Particle ‘do (도)’ and Multi-‘do (도)’ Construct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propos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n the auxiliary particle ‘do’ and ‘…do …do’ construct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suggest to teach ‘do’ and ‘… do …do’ systematically by dividing the various meanings of ‘do’ and the structural peculiarities of ‘…do …do’ into multiple steps. We analyse the synthe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do’ and ‘…do …do’ constructs. We present several teaching proposals and meaning-based teaching contents with examples for the teaching of ‘do’ and ‘…do … do’ constructs. Based on the semantic diversity and frequency of ‘do’, we first teach its primary meaning of ‘addition’, and then ‘extreme’ and ‘acceptance’. Next comes the parallel ‘…do … do’, then the enumerated ‘…do …do’. In particular, we can teach ‘…do …do’ constructs as ‘enumeration’ and thus we should teach them together with the connective ending ‘고 (go)’. This kind of step-by-step teaching with proper examples will help ease the learners’ burden and improve the target grammar understanding.
한국어
이 글의 목적은 보조사 ‘도’가 갖는 의미의 다양성과 ‘도’ 중출 구문이 갖는 통사·의미 적 특이성에 주목하여 ‘도’의 다양한 의미와 ‘…도 …도’ 구문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체계 적으로 교육할 것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도’와 ‘…도 …도’ 구문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분석하고, 보조사 ‘도’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과 의미별 교육 내용을 예문과 함께 제시한다. 보조사 ‘도’는 고빈도 보조사로 한국어교육에서 1급의 문법 항목으로 교육된다. 그러 나 한국어 교재에서 ‘첨가’라는 기본 의미만 명시적으로 제시되어 있고, ‘도’를 의미 기 능에 따라 중·고급에서 새로운 목표 문법 항목으로 나누어 제시하는 경우는 확인되지 않는다. 더욱이 ‘…도 …도’ 구문은 한국어교육에서 본문에는 자주 등장하나 보조사 ‘도’ 와 별도의 문법 항목으로 다루어진 예가 없고, 연구자들의 관심도 받지 못하였다. ‘도’의 의미와 사용 빈도, 구문의 특징 등을 고려해 볼 때 기본 의미인 ‘더함’의 의미를 먼저 교육한 후, ‘극단’, ‘받아들임’의 의미 순으로 교육한다. 그런 다음, 앞뒤 절이 각각 의 서술어를 가지고 있는 병렬형의 ‘…도 …도’를 교육한 후에 서술어가 하나뿐인 나열 형의 ‘…도 …도’를 교육한다. 특별히 ‘…도 …도’ 구문은 ‘도’가 한 번 사용되는 문장과 달 리 문장 표면에 드러난 두 성분만이 의미 부여에 관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므로 연 결어미 ‘고’와 함께 ‘나열’의 의미로 교육해야 한다. 적절한 예문과 함께 이루어지는 이 러한 단계별 교수 방법은 학습자의 학습 부담감을 줄이고 목표 문법에 대한 이해를 높 여 ‘도’의 교수학습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I. 머리말
Ⅱ. 선행연구
Ⅲ. 한국어교육에서의 보조사 ‘도’ 교육 현황
1. 한국어 교재 분석
2.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문법서 분석
Ⅳ. 보조사 ‘도’와 ‘도’ 중출 구문의 통사·의미적 특성
1. 보조사 ‘도’ 구문
2. ‘도’ 중출 구문
Ⅴ. 보조사 ‘도’의 교수-학습 내용 및 제시 예문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