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on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and Civic Education of the Ministry of Justice’s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explore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and civic education in the Ministry of Justice's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To this end, we looked at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and civic education other than the regular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KIIP) curriculum of the Ministry of Justice,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guidelines from 2012 to 2022. The analysis results by period are as follows. In 2012,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migrants by dividing the regular curriculum for Korean social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into 12 areas. Since 2015, it has been divided into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and civic education. Early adaptation programs that start in 2015 need to expand participation targets and multilingual education. From 2020, the term civic education began to be used, and it began to change into education that includes cultural diversity such as immigrant mentor educat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ypes of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and civic education are as follows. Mixed education leaders include government agencies and social specialized institutions. Education choices were categorized as essential and arbitrary. Mixed education includes civic education, immigrant mentor education, local government-linked programs, and early adaptation programs. The leading subjects of social education are local communities and civic groups, and there are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field trips, and blood dona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the participatory learning model are as follows. Types can be analyzed using the participatory learning model include local government-linked programs, events recogniz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and immigration offices, field trips,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and blood donation. Civic education, immigrant mentor education, and early adaptation programs are conducted in a lecture-style education method, so there is a limit to analyzing types with a participatory learning model. It may also be necessary to organize lecture-style education such as civic education, immigrant mentor education, and early adaptation programs in various educational methods in which migrants participate.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and civic education may need to be linked to re-education programs for Koreans an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migrants so that migrants and Koreans can participate together and communicate with the community.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and civic education programs for each residence cycle of migrants.
한국어
이 연구는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사회참여교육과 시민교육에 관해 탐색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사 회참여교육과 시민교육에 관해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운영지침 내용 분석을 중심으 로 살펴보았다. 시기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2년에는 한국사회이해 정규 교육과정을 12영 역으로 구분하여 참여하게 함으로써, 이주민의 사회참여를 제시한 점에서 의미가 있 다. 2015년부터 사회참여교육과 시민교육으로 분리되었다. 2015년부터 진행되는 조기 적응프로그램은 참여대상 및 다국어 교육 확대가 필요하다. 2020년부터 시민교육이라 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민자 멘토교육 등 문화 다양성을 포함하는 교육 으로 변화되기 시작하였다. 사회참여교육과 시민교육 유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혼합형 교육 주도 주 체는 정부 기관, 사회 전문 기관이 있다. 교육 선택은 필수적, 임의적으로 구분되었다. 혼합형 교육은 시민교육, 이민자 멘토교육, 지자체 연계 프로그램, 조기적응프로그램 등이 있다. 사회형 교육 주도 주체는 지역사회, 시민단체 등이고, 사회봉사활동, 현장 견학, 헌혈이 있다. 참여학습 모형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학습 모형을 이용해 유형 을 분석할 수 있는 것은 지자체 연계 프로그램, 법무부 및 출입국 관서 인정 행사, 현장 견학, 사회봉사활동, 헌혈이 있다. 시민교육, 이민자 멘토교육, 조기적응프로그램은 강 의식 교육으로 진행되고 있어서 참여학습 모형으로 유형을 분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 었다. 시민교육, 이민자 멘토교육, 조기적응프로그램 등 강의식 교육을 이주민이 참여하는 다양한 교육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필요할 수 있다. 사회참여교육과 시민교육 은 이주민과 한국인이 함께 참여하면서 지역사회와 소통할 수 있도록 한국인 대상 재 교육 프로그램과 이주민 대상 평생교육 프로그램과의 연계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이 주민의 거주 주기별 사회참여교육과 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다.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이해
2. 이주민의 사회참여
3. 이주민을 위한 시민교육
Ⅲ. 연구방법
Ⅳ. 이주민의 사회참여교육과 시민교육
1. 사회참여교육과 시민교육
2. 사회참여교육
3. 시민교육
4. 사회참여교육과 시민교육 학습 유형
Ⅴ. 연구 결과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