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북한이탈여성의 가족 이산과 재구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원문정보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Family Separation and Reorganiz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Women

김선숙, 김서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search is a phenomenological of the experience of remarriage and family life in South Korea by seven North Korean women.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remarried family life of North Korean refugee women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marital, extended family, parent-child, and step-child, and the meaning they formed was described. Researchers analyzed and described data using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proposed by Colaizzi (1978).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28 sub-components case, which were aggregated into 11 Configuration Meaning. In four areas, the couple appeared to be the pressure of domestic economic sovereignty, the pressure of devoted women, and the bride of hidden secrets. In extended family, it appeared as a mouse hiding in barn, hiding the fairy’s wing, and a projectile from North Korea's attack. In the parent-child, it appeared as the ugly duckling among brothers, the burden or hump of the stepfather, and affection for a friend in North Korea. In her relationship with her stepdaughter, she appears as a reds mother, an incompetent and embarrassing moth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discussions were made on anti-communism, where the patriarchal culture and power imposed on the research participants remain in our society, and on the continuous otherizatrion of North Korean women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한국어

본 연구는 7명의 북한 출신 여성들이 남한에서의 재혼과 가족생활 경험에 대한 현상 학적 연구이다.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여성들의 재혼 가족생활의 내용을 부부, 확대가 족, 친자녀, 계자녀로 나누어 분석했고 그들이 구성한 의미를 기술하였다. 연구자들은 Colaizzi(1978)가 제시한 기술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고 기술했다. 자료 분석 결과 28개의 하위 구성 사례가 출현했고 이를 11개의 구성 의미로 결집했다. 4개의 영역에서 부부는 가정 경제 주권의 압력, 헌신적인 여성상의 압력, 감춰진 비밀 의 신부로 나타났다. 확대가족에서는 곳간에 숨어든 쥐, 선녀의 날개 감추기, 북한 공 격의 투사체로 나타났다. 친자녀에서는 형제들 속에 미운 오리 새끼, 계부의 짐 또는 혹, 북한에 있는 친구에 대한 애정으로 나타났다. 계자녀에서는 빨갱이 엄마, 무능하고 부끄러운 엄마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연구참여자들에게 강요된 가부장적 문화와 권력이 우리 사회에 잔존하고 있는 반공주의와 북한이탈여성들에 대한 지속적 타자화에 대한 논의를 했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선정
2. 자료수집
3. 자료분석
4. 연구의 윤리적 문제와 현상학적 제고 전략
Ⅲ. 연구결과
1. 부부
2. 확대가족
3. 친자녀
4. 계자녀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선숙 Kim, Seon-Sook. 전북대학교 객원연구원
  • 김서영 Kim, Seo-Young.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선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