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편 : 제2부 수원지역 순교성지의 사목적 고찰

박해기 수원지역에서 활동한 성직자와 그 활동무대

원문정보

The Catholic Clergy and Their Area of Ministry in Suwon Region during the Persecution Period

차기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inistry of the Catholic clergy during the persecution period in Suwon region can be chronologically divided into three phases: before the Gihae Persecution(in 1839), the ministry of Fr. Kim Daegeon Andreas(1845-1846), and after the Byeong-o Persecution(1846). Fr. Ju Munmo James(a.k.a. Vellozo), who was the very first priest to ever enter Korea, visited only Han-gam-gae(a.k.a. Han-kam-kai) village in the town of Yang-geun in Suwon county.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Chosun Diocese in 1831, the Chinese priest Yu Bangje(a.k.a. Pacifico), the French missionary priest Pierre Philibert Maubant, and the French bishop Laurent Joseph Marius Imbert came to Korea and visited various Catholic communities. Following these three, Fr. Kim Daegeon Andreas ministered in the villages of Euni and Baemasil in Yong-in . Between the Byeong-o Persecution in 1846 and the Byeong-in Persecution in 1866, Bishop Simeon Francois Berneux, Bishop Marie Nicolas Antoine Daveluy, Fr. Stanislas Feron, Fr. Alphonse Calais, and Fr. Pierre Aumaitre visited the Suwon region, and Fr. Choi Yang-eop, a Korean priest, also paid a visit from time to time. Fr. Pierre Marie Joanno, Fr. Pierre Henri Dorie, and Fr. Bernard Louis Beaulieu also seemed to have ministered the sacraments to local Catholics while learning Korean language in the Son-gol village in Yong-in. Among the Catholic communities in Suwon, Gusan in Gwangju, Baemasil(Euni) and Son-gol in Yong-in, Yang-gan in Suwon sustained the faith communities for the longest time during the persecution period. Before the Gihae Persecution, the clergy worked most actively in Gwangju, Yang-geun(Yangpyeong), Yong-in(Yangji), Gwacheon(Anyang), Suwon(Hwaseong), and Siheung; but after the Byeong-o Persecution, the names of Catholic communities such as Yang-geun, Gwacheon, Siheung, and the like were no longer mentioned, whereas the names of Catholic communities that were in the south of Suwon, such as Yeoju, Anseong(Yangseong), and Jinwi, appeared frequently in various documents.

한국어

박해기 수원 지역에서 사목한 성직자들의 활동은 크게 기해박해(1839년) 이전과 김대건 신부의 활동 시기(1845~1846년), 병오박해(1846년) 이후로 나뉘어진다. 최초로 조선에 입국한 주문모 신부는 수원 지역 중에서 양근 한감개만을 방문하였다. 그러다가 1831년 조선교구 설정 이후에 입국한 중국인 유방제 신부와 프랑스 선교사 모방 신부, 앵베르 주교에 의해 본격적으로 수원 지역 교우촌 순방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어 김대건 신부는 용인의 은이와 배마실 등을 중심으로 사목 활동을 하였다. 1846년의 병오박해 이후 1866년의 병인박해 이전까지 수원 지역을 순방한 선교사는 베르뇌 주교와 다블뤼 주교, 페롱 신부, 칼래 신부, 오메트르 신부 등이었으며, 조선인 성직자 최양업 신부도 때로는 이곳을 방문하였다. 그리고 조안노 신부, 도리 신부, 볼리외 신부도 용인 손골에서 조선어를 배우는 동안 인근의 신자들에게 성사를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박해기 수원 지역의 교우촌 중에서 가장 오랫동안 신앙 공동체가 지속된 곳은 광주의 구산, 용인(양지)의 배마실(은이)과 손골, 수원의 양간 등지였다. 또 기해박해 이전에 성직자들이 주로 활동한 지역은 광주·양근(양평)·용인(양지)·과천(안양)·수원(화성)·시흥 등이었지만, 병오박해 이후로는 양근·과천·시흥의 이름이 나타나지 않는 반면에 여주·안성(양성)·진위 등 수원 남쪽에 위치하는 교우촌의 이름이 자주 등장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목차

머리말
 1. 기해박해 이전의 외국인 선교사
  1) 최초의 선교사 주문모 신부
  2) 조선교구 설정 이후의 선교사
 2. 최초의 조선인 성직자 김대건 신부
 3. 병오박해 이후의 프랑스 선교사
  1) 지역 본당 설정 이전의 선교사
  2) 지역 본당 설정 이후의 선교사
 맺음말 - 성직자들의 활동 지역과 주요 공소
 Abstract

저자정보

  • 차기진 Cha, Gee-jin. 양업교회사연구소 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