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급 공동체역량·글로벌 공동체역량과 관련 변인 탐색

원문정보

The Effects of Both School-based Sense of Community and Global Sense of Community on Korean Adolescents’ Multi-cultural Competency

박혜숙, 원미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chool-based (local) sense of community and global sense of community on multi-cultural competency using the KELS2013 data set, incorporating both individual and school characteristics. Although both empirical and theoretical research studies conducted overseas show that respecting diversity and a sense of community based on similarity and proximity are not compatible (Mannarini et al., 2017; Neal & Neal, 2014, 2017; Townley, Kloos, Green, & Franco, 2011), research studies conducted in Korea show reverse results, i.e., both a sense of community and multi-cultural receptivity/or respecting diversity are positively correlated. This discrepancy prompts us to investigate this aspect.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wo groups of sense of community, one, school-based (local) sense of community that is physically available and the other, a broad global sense of community, which i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We investigated using multilevel modeling methods at each wave to find out whether and how the two variables contribute to multi-cultural competency. The results of analyses support oversea research findings. The effect of a school-based (local) sense of community on the adolescents’ multi-cultural competency was absent during their 2nd year in middle school and the effect was even negative during the 1st year in high school.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 sense of community and respecting diversity or multi-cultural competency seemed to occur due to Korean researchers’ use of aggregated items without differentiating the items conceptually. Due to this reason, attention is needed in interpreting the results of existing studies. However, the effect of a global sense of community on multi-cultural competency was the highest, which was followed by observing regulations in schools, the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then that with teachers. Suggestions were made to enhance multi-cultural competency.

한국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조사한 KELS2013의 4차년도와 6차년도의 자료를 이용하여 다 문화수용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공동체역량 변수의 효과를 개인 특성 및 학교환경 변수 와 더불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사성과 인접성에 근거한 공동체의식은 다양성 존중과는 상호공존하기가 힘들다는 해외 연구(Mannarini et al., 2017; Neal & Neal, 2014, 2017; Townley, Kloos, Green, & Franco, 2011 등)를 근거로 공동체역량 변수 를 실재하는 유사성과 인접성을 토대로 하는 학교급에서의 공동체역량과 세계시민의 식 차원에서 세계공동체에 대한 관심과 태도를 나타내는 글로벌 공동체역량으로 변수 를 구분하여 영향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국내 연구에서는 공동체의식과 다문화 수용성은 항상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어서 본 연구진은 해외 연구와의 불일치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ELS2013의 공동체역량 문항을 유사성과 인접성의 개념을 기 준으로 학교급 공동체역량과 글로벌 공동체역량이라는 변수를 생성하고 각 변수가 미 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이 4차년도(중2: 2016년), 6차년도(고1: 2018년) 시기에 따라 어 떠한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국외연구에서와 유사하게 근접성과 유사성이 실재하는 학교급 공동체역량이 다문화수용역량에 기여하는 효과는 없거나 부적 효과가 있었다. 국내 연구자들이 사용한 기존의 종단자료에서는 공동체역량을 유사성과 인접성에 근 거한 하위적 개념요소의 분류 없이 사용한 결과라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 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글로벌 공동체역량은 다문화수용역량을 예측하는 변수로 두학년에서 모두 그 효과 크기가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규칙준수, 또래와의 관계, 교 사와의 관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수용역량 제고에 기여하는 글로벌 공동체역량 제고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Ⅱ. 관련문헌
1. 다문화수용역량
2. 공동체의식
III. 연구방법
1. 연구 대상자
2. 설문문항 및 코딩
3. 분석 방법
4. 연구모형
IV. 결과
1. 4차 년도(중2) 시기의 다문화수용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효과
2. 6차 년도(고1) 시기의 다문화수용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효과
V. 논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혜숙 Park, Hye-Sook.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부교수
  • 원미순 Won, Misoon. 서울여자대학교 교양대학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