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entimental comedy, which led mainstream culture in British society after the Restoration of the monarchy, and considered the incorporation of modern theater art through a study of the dramatic effects of irony found in drama literature. In the 18th century, British theater culture emerged as a appreciation play using "cultivation of human beings” as a motif to improve the debauchery and chaotic social atmosphere of the Restoration of the monarchy. As a brief characteristic of the appreciation play of the time, in order to emphasize moral lessons, the fallen male and female protagonists are converted into moral characters and subjugated. In this process, the development of the event and the type of person create irony by revealing the gap from reality. In order to examine the irony aspect in the play in detail, this researcher chose George Parker's "The Stylish Man's Strategies” among the appreciation plays that secured popularity and workability at the time. In the above study, the reasons for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irony among the developing elements of the drama are as follows. It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author's intention can be interpreted as active from the audience's perspective by capturing the emphasis of the dialogue or event in the play through the conversion of thought. In the end, the ambiguity and imperfections inherent in irony reveal ambivalence. The use of irony in a character's behavior or situation is a new stimulus and reconstructs the theatrical meaning. Therefore, the use of irony can be used as a medium for close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intensively revealing the implications of the play. At the same time, it can draw tension about the characters and events in the play. This researcher intends to end with a study of irony representation for the use of irony seen in appreciation play works and meaningful communication in today's dramatic art. It is revealed that it is a limitation of representative research based on psychology and philosophy, and the linguistic value of irony is limited based on Socher's symbolic materiality theory, so we hope for in-depth research on irony in the future and leave it as a follow-up study.
한국어
이 연구는 왕정복고 이후 영국 사회에서 주류문화를 선도한 감상희극(sentimental comedy)의 특성을 분석 하고, 희곡 문학에서 발견된 아이러니(Irony)의 극적 효과 연구를 통해 현대 극예술의 접목 방안을 고찰하였다. 18세기 영국의 희곡문화는 왕정복고 시대의 방탕과 혼란스러운 사회 분위기를 개선 시키고자 ‘인간에 대한 교화’를 모티프로 삼은 감상희극이 대두되었다. 당대 감상희극의 간략한 특성으로는 도덕적 교훈을 강조하기 위해 타락한 남녀 주인공들을 도덕성을 갖춘 인물로 변환하여 굴복시킨다. 이 과정에서 사건 전개 및 인물 유형은 현실과의 괴리를 드러냄으로써 아이러니를 발생시킨다. 극 중 아이러니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자는 당시 대중성과 작품성을 확보한 감상희극 중 조지 파커의 <멋쟁이의 책략>을 선택하였다. 위 연구에서 드라마의 전개 요소 중 특히 아이러니에 주목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작가가 의도하는 바를 사고의 전환을 통해 대사 또는 극 중 사건의 강조점을 포착하고, 텍스트에 내재 된 연극적 의미를 관객의 시선에서 능동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춘다. 위 내용은 언어학자 소쉬르의 기호학 이론을 연구방법론으로 설정함으로써 아이러니의 양상을 언어, 행위, 운명의 세 가지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아이러니의 효용성에서 볼 때, 의사소통의 실효성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아이러니의 사용이 관객들에게 혼란을 초래하여 극의 몰입을 분산시킴으로써 본래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결국 아이러니가 내재하고 있는 모호성과 불완전함이 양면성을 드러낸다는 점이다. 인물의 행위 또는 상황에서 아이러니의 사용은 새로운 자극이며 연극적 의미를 재구성한다. 따라서 아이러니의 사용은 관객과 의 긴밀한 의사소통과 극의 함축된 의미를 집약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매개체로 활용될 수 있다. 독자는 희극 작품 안에서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반전의 효과를 유추해냄으로써 극의 속도감을 조절할 수 있고, 작가가 의도한 특정 장면을 모순된 형태로 극화하면서 직간접적인 단서를 제공한다. 동시에 등장인물과 극 중 사건에 대한 긴장감을 끌어낼 수 있다. 본 연구자는 감상희극 작품에서 본 아이러니의 활용과 오늘날 극예술 속 유의미한 의사소통을 위한 아이러니 표상 연구로 마치려 한다. 심리와 철학을 기반으로 한 표상 연구의 한계임을 밝히고, 아이러니가 지니는 언어적 가치를 소쉬르의 기호 물질성 이론을 근거로 연구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향후 아이러니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기대하며 후속 연구로 남겨두고자 한다.
목차
Ⅰ. 서론
1.1. 연구 배경 및 연구목적
1.2. 연구 범위 및 방법
Ⅱ. 영국 감상희극의 전개 요소 - 조지 파커 <멋쟁이의 책략>을 중심으로 -
2.1. 왕정복고기 영국의 사회 문화적배경
2.2. 도덕성(Morality), 위트(Wit), 풍자(Satire)의 극적 의미
Ⅲ. 아이러니(Irony)의 양상 및 효과
3.1. 감상희극에 나타난 언어적 아이러니
3.2. 극 구조에 따른 아이러니와 패러디(Parody)의 비교
Ⅳ. 시사점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