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기 콘텐츠 분야

중국 연극의 가상현실 적용연구 - <선전(深圳)에 온 두아>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Virtual Reality Application of Chinese Theater - Focus on <Douya Came to Shenzhen> -

장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scope of the convergence of virtual reality as a research range, focusing on the virtual reality theater , which is produced and performed by Harbin Institute of Technology University in China.Among them, the focus was on how to apply virtual reality in the field of theater and the effects of Chinese traditional and modern theater.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In Chapter 2, the concept of virtual reality, the scope of application in China, and the concept of the CAVE(Cave Automatic Virtual Environment) immersive virtual reality were analyzed in detail as an example of the play .The virtual reality experimental drama , which was performed at Harbin Institute of Technology University's digital theater, was successfully attempted.Therefore, virtual reality technology has established a theater stage and performance space, and has proved its utility in China to implement multiple angles, multiple directions, immersive and interactive theaters using robots, The aesthetic method of traditional Chinese theater has the characteristics of imagination, virtual and participation. While making the most of the way of directing the traditional Chinese theater, the production of traditional plays was changed so that modern people could easily accept it. The addition of new technologies has changed the structure and plot structure that is overly strict and formal in Chinese traditional plays. which can help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plays.In the case of modern theater, virtual reality changed the myth about the installation of the stage of modern theater, enabling some of the scenes that were impossible with traditional stage art and design. In addition, the filming techniques of virtual reality plays and the stage devices of virtual reality have changed the actor's acting. The intervention of the adaptive camera and the virtual set on stage became the tools and devices for virtual reality theater actors. As a result, applying virtual reality to the play can make the audience attempt a new type of performance and performance space, and this type of play can be more flexible in the creation and rehearsal process.

한국어

본 연구자는 중국 하얼빈공업대학에서 제작·공연하는 중국 연극의 가상현실 적용, <선전에 온 두아> 를 연구 주제로 삼아 연구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상현실 기술이 극장 무대 및 공연 공간 을 구축하였고 로봇, 인공 지능 및 기타 수단을 사용하여 다각도, 다방향, 몰입형 및 대화형 극장을 구현 하는 데 중국에서 그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선전에 온 두아>의 공연 이후 중국 연극 무대의 대 부분은 멀티미디어 방법 LED 영사 및 홀로그램 영사 기술을 사용했다. 무대의 아주 작은 부분이나 보조 배우 개인이 가상현실 기술을 사용하여 몰입형 극장 분위기를 조성했다. 이로써 <선전에 온 두아>의 시 도는 가상현실 기술을 연극 무대에 적용하는 가능성을 증명하였다. 또한, 중국 연극의 무대 설치가 너무 단순해 관객들의 몰입감 있는 관람을 어려웠다는 한계를 가상현실 활용으로 이 문제를 적절하게 극복할 수 있었다. 그리고 중국 연극의 전통 연출 방식을 최대한 살리면서도 전통연극의 제작방식을 변화시켜 현대인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가상현실의 적용은 중국 연극의 지나치게 엄격하고 격식에 얽매인 창작 방식과 플롯 구조를 변화시켰다. 동시에 중국 연극의 영상을 보존하는 중 요한 기술적 수단으로 사용되어 전통의 연극 계승과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가상 현실은 현대연극의 무대 설치에 대한 통념을 바꿔 전통무대미술과 디자인으로는 불가능한 장면의 일부 를 가능하게 했다. 특히 가상현실 연극의 촬영기법이나 가상현실의 무대장치는 연극배우의 연기를 변화 시켰다. 적응 카메라의 개입과 무대 위 가상 세트는 가상현실 연극배우들에게 꼭 필요한 도구와 장치가 됐다. 이에 따라 가상현실을 연극에 적용하면 관객은 새로운 유형의 공연 관계와 공연 공간을 시도할 수 있으며 연극의 창작 및 리허설 과정에서 더 유연하게 작용 될 수 있다. 그리고 극장 관객의 미적 지향성 을 미묘하게 스크린으로 회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가상현실 연극은 공연 공간, 배우의 공연 형태, 관 객의 효용성을 촉진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3. 선행연구
Ⅱ. 가상현실의 이론적 접근과 <선전에 온 두아>의 연극에서의 적용
2.1. 가상현실의 이론적 접근
2.2. <선전에 온 두아>의 가상현실 적용
Ⅲ. 가상현실이 중국연극에 미치는 영향
3.1. 중국 전통연극에 미치는 영향
3.2. 중국 현대연극에 미치는 영향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쿤 Kun-Zhang. 청주대학교 대학원 연극문화예술학과 박사과정 (Cheongju Univ.)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