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Influencing Factors of Perceived Anxiety Control of Nursing Students on COVID 19

원문정보

코로나 19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불안 통제감 영향요인

Mi Kyung Jeon, Jae Woo Oh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description to explore the factors related to knowledge of COVID-19, behavioral triggers, cognition of COVID-19, and perceived anxiety and control of nursing students in one region,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perceived anxiety and control. It is an investigativ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ase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isaster letter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sense of anxiety and control between behavioral triggers and cognition of COVID-19.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was 17.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a way to improve the sense of control of perceived anxiety, efforts to perceive correct health status through awareness improvement and accurate information provision using SNS, portal sites, messengers, etc. I think that institutional measures are needed.

한국어

본 연구는 일 지역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코로나 19에 대한 지식, 행동계기, 코로나 19에 대한 인식 및 지각된 불안 통제감간의 관련 요인을 탐색하고 지각된 불안 통제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각된 불안 통제감의 경우 재난 문자 및 지각된 건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지각된 불안 통제감에는 행동계기, 코로나 19에 대한 인식이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지각된 건강상태 및 코로나 19에 대한 인식과 행동 계기가 지각된 불안통제 감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의 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17.1%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 로 지각된 불안 통제감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캠페인 및 광고를 간호대학생이 많이 하는 SNS, 포털 사이트, 메신저 등을 활용한 인식향상 및 정확한 정보제공을 통한 올바른 건강상태 지각을 위한 노력과 제도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목차

Abstract
Ⅰ. 연구의 필요성
1. 연구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대상자
3. 연구도구
4. 자료수집
5.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과 코로나 19에 대한 지각된 불안 통제감 차이
2. 코로나 19에 대한 지식, 행동계기, 코로나 19에 대한 인식 및 지각된 불안 통제감 정도
3. 코로나 19에 대한 지식, 행동계기, 코로나 19에 대한 인식 및 지각된 불안 통제감 관계
4. 코로나 19에 대한 지각된 불안 통제감 영향요인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Mi Kyung Jeon Department of Nursing, Munkyung University, 161 Daehak-gil, Hogye-myeon, Mungyeong-si, Gyeongsangbuk-do, Korea
  • Jae Woo Oh Department of Nursing, Konyang University, 185, Gwanjeodong-ro, Seo-gu, Daejeon,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