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is a philological study of Hu tsi Chi yan(abbr. HTCY), a philosophical text of an eminent philosopher Hu hong, who lived between the Northern Sung and the Southern Sung dynasties. He present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Sung philosophy, but his masterpiece, HTCY had no philological studies compared to philosophical interest. There are two versions of the six-volume edition of HTCY, although it was originally published in the one-volume edition edited by Chang shih, the successor of his school in the Southern Sung dynasty. The Yüe ya tang collection(abbr. YYTC) version, one of the six-volume editions, has been accepted as a reference since the 20th century and was re-published from the version of the Ming dynasty edition edited by Cheng Min cheng, who lived in the middle term of the Ming dynasty. The other version included in the Ssu Khu Chhüan Shu(abbr. SKCS), called reproducing from the Yong Le Ta Tian(abbr. YLTT) edition, was claimed the Sung period edition in the criticism of the SKCS. This article also compares the YYTC and the YLTT version revealing that the latter is not the original version published in the Sung dynasty. Even the first version originated from the Sung dynasty version. At the same time, this article also accomplishes many editorial corrections of eliminations in the original text and disturbances in the order of chapters and sentences under the influence of Chu hsi's Hu tsi Chi yan Yi yi. Finally, this article suggests an ideal version of HTCY, that takes the YLTT version as the original text and must cancel its volume counting, but makes a one-volume version as the YYTC version revived the chapter names. If it has some inadequacy for understanding in the YLTT version, I suggest supplying it with the YYTC version.
한국어
북송과 남송 교체기 철학자 호굉은 도학과 리학의 발전에서 중대한 의의를 가진 철학을 제시했다. 그의 대표작 『호자지언』 은 철학적 관심에 비해 문헌학적 연구가 없었다. 송대에 출간된 단권본 계통 『지언』 이 사라진 현재 6권본 계통의 2가지 판본이 전해지고 있다. 정민정 편집본을 중각한 월아당총서본 계통이 보급되어 있는 기준 판본의 역할을 하고 있는 형편이다. 사고전서에 수록된 영락대전본 계통은 사고관신의 문헌 비평에서 송판본이라 했으나 주목을 덜 받았다. 본고는 월아당총서본과 영락대전본을 비교하여 사고전서 수록 영락대전본이 송판본이 아니라 원판본으로 추정되며, 오히려 월아당총서본이 송판본이라는 점을 밝혔다. 또한 이민족에 대한 비판적 언사를 고치거나 누락시킨 사고전서본은 청나라 이민족 통치 시기의 부득이한 수정의 결과이며 문헌에 대해 유감스러운 상황을 빚었다는 점을 비판했다. 이와 함께 월아당총서본도 주희 『호자지언의의』 의 영향력하에 『지언』 원문을 함부로 탈락시키고 장차를 어지럽히는 편집 상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점도 구체적 교감 작업을 통해 밝혔다. 본고는 연구 결과로 이상적 『지언』 결정본을 구상한다면 영락대전본을 저본으로 장차를 구성하고, 동시에 영락대전본의 분권을 취소하며 월아당총서본처럼 편명을 되살린 단권본을 만드는데, 영락대전본에 부족한 점은 월아당총서본으로 보충하는 방향을 제시한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호자지언』의 판본
3. 『호자지언』의 교감
4.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