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간재 전우의 心說과 理氣論 : 사상사적 배경과 心氣 이해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etaphysics and Human Mind of Ganjae Jeon-Woo : Focused on philosophical context and spirit(心氣)

간재 전우의 심설과 이기론 : 사상사적 배경과 심기 이해를 중심으로

정도원

우계문화재단 우계학보 제43호 2022.12 pp.57-8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affiliation of Yulgok studies after Yi-Yi, especially Kim-Jangsaeng, there was a tendency to present the proposition “Mind is Qi(心是氣)” by paying attention only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and to exclude the manifestation of pure morality. However, Kim-Changhyeop, Yi-Gan, Yi-Hangro, Ki-Jeongjin, etc., think otherwise, “the mind encompasses the principles and reality of the metaphysics(心合理氣).” Therefore, they claim that “the principle of metaphysics and reality are of the same essence(理氣同實)” or “the human heart is consistent with its moral nature(心性一致)”. It is the position that the moral body in the human subject is the master of actual human behavior. On the other hand, Jeon-Woo tried to distinguish spirit(心氣) from general Qi(氣) and ensure that it is pure. By this, I tried to prove the premise that "the principle of metaphysics is immobile, but the actual qi is in motion" and the proposition "Mind is Qi". In this context, Jeon-Woo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ubject to that of a teacher and a disciple, and argued for “exaltating good nature.” And, claims that contradicted this were criticized as heretical theories that deviated from Zhu Zi-Yulgok's orthodoxy. This discourse of Jeon-Woo focused on the rationalization of the “Mind is Qi” discourse. Jeon-Woo did not stop making these claims even in the situation where national sovereignty was lost and many scholars started an armed struggle. He thought that it was more important to clarify what the reality should aim for rather than the immediate reality. If you see that what the reality should aim for is more important than the actual reality, and if that orientation is based on the tradition that has been handed down, not the current self, then the “Moral Principle” This is because it can take the position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principle of morality comes first.” There were cases such as Song-Siyeol, which already practiced this position. In this way, it can be said that Jeon-Woo focused on preserving and disseminating discourses handed down from previous generations throughout his life. The core of the discourse that Jeon-Woo wanted to preserve was “Mind is Qi”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metaphysical principle does not move, but Qi actually moves.”

한국어

이 논문은 心是氣가 김장생 이후 강조되는 담론이고, 낙론의 心 이해가 이러한 흐름과 맞지 않으며, 따라서 낙론이 김장생―송시열의 心是氣가 가지는 담론적 한계를 인식한 결과일 가능성도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간재 전우가 주자학이나 율곡학을 心是氣의 관점으로 이해하는 것이 과연 정당한지, 낙론의 기본 입장과 전우의 주장이 일관성을 가지는지, 전우의 담론과 비판이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 등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전우에 대한 연구의 지평을 기존의 것보다 조금 더 넓혀, 전우의 주장을 조선 주자학의 쟁점이라는 맥락에서의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김장생과 송시열의 心是氣, 理無爲氣有爲 논리에는 크게 두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理를 無爲라고 보면 主宰의 의미를 찾을 수 없다. 理는 그저 도덕의 근거일 뿐이다. 둘째, 理氣不離를 전제한다고 해도 心 자체를 氣로 규정하게 되면 도덕 행위의 필연성 역시 사라진다. 도덕은 理에 있는데 행위는 心이 하기 때문이다. 결국, 김장생―송시열의 이황 비판은 理의 주재성 약화 혹은 도덕 근거의 부재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런 맥락에서 김창협은 율곡의 주장을 회의하고 이황의 주장에 근접한 주장을 하였고, 이간과 한원진은 주희가 “妙”로 봉합한 보편과 특수, 性·理와 心의 틈새를 다시 벌려 純善 혹은 絶對善의 근거를 인간 내면에서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를 두고 논쟁하였다. 종래 김장생―송시열 계열이 無爲의 理와 心是氣를 주장함으로써 性과 未發心體의 연결이 불가능해지고, 따라서 理의 주재성 또는 도덕 근거를 확보하기가 어렵게 되었기 때문이다. 홍직필은 오희상에게서 영향 받아 이황 식의 理發을 神으로 언급하였다. 氣의 청탁수박은 결국 本心≒明德≒神을 天理의 流行에 상응하는 純善의 主宰를 구별해내기 위한 장치이고, 道器의 구분은 心是氣라는 명제를 지키려는 의도에 따른 것이었다. 내면의 순수 도덕 주체를 확보한다는 낙론의 심학적 목표를 율곡의 논리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홍직필이나 오희상의 입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전우는 홍직필―임헌회 계보로서, 心氣를 形氣로부터 구분하여 無爲의 理와 有爲의 氣라는 전제에서 주장되는 氣로서의 心이 純善한 것임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無爲의 理와 有爲의 氣라는 전제에서 理 또는 性이 단지 규범일 뿐임도 주장한다. 心은 理 또는 性을 준칙으로 한 성찰적 실천을 해야 한다는 “性師心弟”를 주장이나 理 중심 心 이해를 異端이라고 보는 입장이 이 맥락에서 가능했다. 전우는 이러한 논리가 주자학의 정통이라고 믿고, 자신이 이 정통성을 지켜야 할 종장이라고 확신하였다. 그가 벌인 많은 논쟁들은 바로 이러한 儒宗으로서의 책임감에 따른 행위였다고 할 수 있다.

목차

논문 초록
1. 서론
2. 理의 主宰와 도덕 근거
3. 心氣의 구별과 관념적 理
4. 도덕 원칙과 실천 주체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도원 JeongDowon. 원광대학교 한문번역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