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과융합 수업설계에서 체육과를 활용하는 타 교과의 시선 : 사례와 의미

원문정보

Perspectives of Other Subjects Utilizing Physical Education in Subject Convergence Class Design : Cases and Meanings

이정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cases and meanings of other subjects that utilize physical education(PE) in subject convergence class design.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analysis method, and data were analyzed through an inductive category analysis method. As a result, each subject was designing a convergence class using physical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each subject. English was converging with PE to teach vocabulary and sentences related to sports and conversation to improve communication. Science was converging with PE to express the appearance of animals and plants and to explain scientific principles. Mathematics was converging with PE to explain mathematical principles. Music was converging with PE through dance. In designing subject convergence classes, the perspectives of other subjects toward PE were largely positive and negative. The positive one considerd PE as a suitable subject for convergence and effective one for learning, and the negative one considerd PE as an auxiliary activity and a subject that interpreted autonomousl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range and level of PE required for convergence so that the essence of PE can be reflected in the process of subject convergence. This will act as an opportunity to play a role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period of competency-centered subject convergence.

한국어

본 연구는 교과융합 수업설계에서 체육과를 활용하는 타 교과의 사례와 그 의미를 찾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분석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했으며 귀납적 범주 분석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타 교과는 각 교과의 목적을 고려하여 체육과를 활용한 융합 수업을 설계하고 있었다. 영어과는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대화 및 스포츠와 관련된 어휘와 문장을 가르치기 위해 체육과와 융합하고 있었다. 과학과는 동식물의 모습을 표현하는 것, 과학적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체육과와 융합하고 있었다. 수학과는 수학적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체 육과와 융합하고 있었다. 음악과는 주로 춤을 통해 체육과와 융합하고 있었다. 교과융합 수업설계에서 체육과를 바 라보는 타 교과의 시선은 크게 긍정적 의미의 시선과 부정적 의미의 시선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긍정적 의미의 시 선은 융합에 적절한 체육과, 학습에 효과적인 체육과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부정적 의미의 시선은 보조 활동으로 활용되는 체육과, 자율적으로 해석되는 체육과로 나타나고 있었다. 앞으로 체육과는 교과 융합 과정에서 체육과의 본질이 반영될 수 있도록 융합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체육과의 범위와 수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는 역량 중 심의 교과융합 시기에 체육과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자료 수집
2. 자료 분석
3. 연구의 진실성과 제한점
Ⅲ. 타 교과의 체육과 융합수업 설계 사례
1. 영어과의 체육과 융합수업 설계 사례
2. 과학과의 체육과 융합수업 설계 사례
3. 수학과의 체육과 융합수업 설계 사례
4. 음악과의 체육과 융합수업 설계 사례
Ⅳ. 교과융합 수업설계 과정에서 체육과를 바라보는 타 교과 시선의 의미
1. 체육과를 바라보는 타 교과 시선의 긍정적 의미
2. 체육과를 바라보는 타 교과 시선의 부정적 의미
Ⅴ.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이정택 Lee, Jung-Taik. 서울대모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