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성별 다양성 관련 조직 특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성별 다양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Gender Diversity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Government: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Gender Diversity

이태신, 임준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how gender diversity management influences public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ata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 survey of public officials 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Results find that feminine culture, gender equality personnel management, and diversity leadership facilitate perceived gender diversity, while gender-based separation of jobs dampens the gender diversity. In addition, gender diversity was found to facilitat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well as officials’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dings suggest that public agencies needs to keep gender equality personnel management practices and help cultivate public managers’ diversity leadership.

한국어

본 연구는 성별 다양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직특성이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다양성 관리와 관련된 조직특성 변수인 여성적 조직문화, 양성평등 균 형인사정책, 관리자의 다양성 리더십, 성별직무분리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성별 다양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통해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연구모형을 설계하 였다. 연구 결과, 모든 독립변수들이 성별다양성 인식에 정(+)의 영향을, 성별다양성 인식 이 조직효과성 변수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매개효과에 관해서는, 양성평등 균형인사정책의 만족도가 성별 다양성 인식을 매 개로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 리자의 다양성 리더십도 성별 다양성 인식을 경유하여 조직성과에 간접적으로 정(+)의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1. 성별 다양성
2. 여성적 조직문화
3. 양성평등 균형인사정책
4. 관리자의 다양성 리더십
5. 성별직무분리
6. 조직효과성
7. 연구가설
Ⅲ. 연구설계
1. 표본 및 자료수집
2. 변수 척도의 타당성 및 신뢰성
Ⅳ. 분석결과
1. 공공조직의 특성과 성별 다양성 간의 관계 분석
2. 성별 다양성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분석
3. 성별 다양성의 매개효과 분석
Ⅴ. 분석결과의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태신 Tae-Shin, Lee. 금산군청
  • 임준형 Joon-Hyoung, Lim. 고려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