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삼국시대 기와의 쐐기분할기법에 대하여

원문정보

About Wedge Splitting Technique on Roof Tile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차순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of the splitting traces on the side of the early Silla Dynasty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moat of the Wolseong Fortress in Gyeongju, there was a new finding that the second separation process was performed by cutting the side and then sticking the cut side with a wedge, unlike the commonly known method. This technique was named the by emphasizing the shape of the wedge remaining on the cut side, and similar cases and time of use was estimated. Silla’s roof tiles that used the wedge splitting technique were mostly togi guyeon ammaksae (roof-end tiles with earthenware strip around the rim), which were presumed to be the first roof-end tiles, and some convex roofing tiles. Considering that the wedge splitting technique was not confirmed with the earthenwar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Earthenware Kiln No. 3 in District C-I-2 of Gyeongju Songok-dong and Mulcheon-ri Sites where togi guyeon ammaksae were produced, whether this technique was used or not may reflec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le-making groups and the limitation of tile use at the time. It is presumed that the wedge splitting technique was used to smoothen the side of the tile during the production of tiles at the time, and considering that it was mainly excavated from the moat of the Wolseong Fortress, Crown Prince Palace, and the Wolji Sit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tiles were used exclusively. Considering that various types of short stamped roof tiles, including short stamped roof tile with the inscription of ‘Uibong 4 Nyueon Gaeto (儀鳳4年開土),’ which was produced in the 19th year in King Munmu’s reign (679) immediately after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were trimmed several times on the sides to erase the splitting trace, it is presumed that the production of roof tiles in Silla around the sixth century was divided into general splitting and additional splitting works. And the use of this specific technique is thought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le-making group.

한국어

경주 월성해자에서 출토된 신라 초기 기와 중 무와통작법과 모골와통작법으로 제작된 기와의 측면부의 분할흔적을 관찰한 결과 일반적으로 알려진 분할방법과 달리 추가로 2차 작업을 한 분할기법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이 기법을 와도분할면에 남아있는 특징에 주목하여 <쐐기분할기법>으로 명명하고 유사사례와 사용시기를 추정하였다. 신라기와 중 쐐기분할기법이 사용된 것은 대부분 최초의 암막새로 추정된 토기구연암막새와 일부 미구기와 등이다. 당시 토기구연암막새가 생산된 경주 손곡동‧물천리유적 C-Ⅰ-2지구 3호 토기요지 출토품에서 쐐기분할기법이 확인되지 않은 점으로 볼 때, 이 기법의 사용여부는 당시 기와제작집단과 사용처가 한정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쐐기분할기법의 존재는 당시 기와생산과정에서 기와 측면부를 매끈하게 만들기 위한 시도로 추정되며, 월성해자와 동궁과 월지유적에서 주로 기와가 출토된 점은 기와 사용처가 제한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삼국통일 직후인 679년(신라 문무왕 19)에 생산된 ‘의봉4년개토’명 단판타날기와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단판타날기와는 측면을 여러 차례 다듬어서 와도분할흔적을 지운 모습이 확인되는 점으로 볼 때, 이미 신라는 6세기에 기와를 생산하면서 일반적인 분할작업을 사용한 것과 추가적인 작업공정을 한 것으로 구분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특정기법의 사용은 기와를 제작한 와공집단의 특징을 반영한 모습으로 생각된다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연구사
Ⅲ. 쐐기분할기법 사례 검토
Ⅳ. 쐐기분할기법의 사용시기와 의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차순철 Cha Soon-chul. (재)서라벌문화재연구원 조사단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