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스마트팜 구축을 위한 데이터수집의 문제점 분석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Analysis of Problems in Data Collection for Smart Farm Construction

김송강, 남기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ow that climate change and food resource security are becoming issues around the world, smart farms are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m. In addition, changes in the production environment in the primary industry are a major concern for people engaged in all primary industries (agriculture, livestock, fishery), and the resulting food shortage problemis an important problem that we all need to solv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imary industry, efforts are made to solve the food shortage problem through productivity improvement by introducing smart farms us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ICT and BT and IoT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This is done throug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This paper intends to consider the minimum requirements for the smart farm data collection system for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smart farms,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agricultural management system, the sequential system construction method, and the purposeful, efficient and usable data collection system. . In particular, we analyze and improve the problems of the data collection system for building a Korean smart farm standard model, which is facing limitations, based on in-depth investigations in the field of livestock and livestock (pig farming) and analysis of various cases, to establish an efficient and usable big data collection system. The goal is to propose a method for collecting big data.

한국어

기후변화 및 식량자원안보가 전 세계적으로 이슈화 되어 지고 있는 지금 스마트팜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1차 산업에 있어 생산 환경의 변화는 모든 1차 산업(농업, 축산업,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주 요 관심사 이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식량부족 문제는 우리 모두가 해결해야 할 중요문제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1차 산업에서는 ICT 및 BT등 4차 산업 혁명과 기술인 IoT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 트팜을 도입함으로 해서 생산성 향상을 통해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민관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 문은 스마트팜의 발전 및 활용, 지속 가능한 농업경영 시스템구축을 위한 스마트팜 데이터 수집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최소요건 및 순차적인 시스템 구축 방안, 목적성을 갖는 효율적이고 활용 가능한 데이터 수집 시스템 등에 관해고 찰 하고자 한다. 특히 한계에 부딪치고 있는 한국형 스마트팜 표준모델 구축을 위한 데이터수집시스템의 문제점을 농 축산(양돈)분야의 심층적인 조사와 다양한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분석하고 개선하여 효율적이고 활용 가능한 빅데이터 수집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빅데이터 수집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관련연구
1.1 스마트팜 시스템의 구성
1.2 스마트 축사(돈사) 데이터 수집 시스템의 구성
3. 스마트팜 데이터수집 시스템의 문제점
3.1 스마트 돈사 데이터 수집 시스템의 구성
3.2 스마트 돈사 데이터 수집 시스템의 문제점
3.3 체계화된 스마트축사(돈사) 데이터 수집시스템의 예시
4. 양돈데이터 수집 사례연구
4.1 상관분석
4.2 급이에 따른 재귀발정일 예측 (전처리)
5. 모델(목적성)을 갖는 농장정보 필요데이터 (사례연구)
6. 성공적인 스마트팜(양돈)을 구축하기 위한 전제조건
7. 결론
Acknowledgements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송강 Kim Song Gang. 중부대학교 스마트 IT학과
  • 남기포 Nam Ki Po. 농협대학교 협동조합디지털경영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