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지털증거분석실의 도구·장비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ethods of Building Tools and Equipment for Digital Forensics Laboratory

신수민, 박현민, 김기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use of digit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diversifying, and in proportion to this, crimes using digital information are also increasing. However, there are few cases of establishing an environment for processing and analysis of digital evidence in Korea. The budget allocated for each organization is different and the digital forensics laboratory built without solving the chronic problem of securing space ha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standard that can be referenced from the initial configuration stage.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thesis conducted an exploratory study focusing on tools and equipment necessary for building a digital forensics laboratory. As a research metho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experts with extensive practical experience in the digital forensic laboratory or digital forensics field and experts' opinions were collected on the following 9 areas: network configuration, analyst computer, personal tools·equipment, imaging devices, dedicated software, open source software, common tools/equipment, accessories, and other considerations. As a result, a list of tools and equipment for digital forensic laboratories was derived.

한국어

디지털 정보는 정보통신의 발달로 지속적으로 증가 및 다양화되는 추세이며, 이를 악용한 범죄 또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디지털증거에 대한 처리 및 분석을 위한 환경 구축 사례는 미비한 실정이다. 조직마다 할당된 예산이 상이하고 고질적인 문제인 공간 확보의 어려움을 해소하지 못한 상태에서 구축된 디지털증거분석실은 초기 구성단계에 서부터 참조할 수 있는 기준이 없다. 본 논문은 디지털증거분석실 구축 시에 필요한 사항을 도구·장비 중심으로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디지털증거분석실 구축 경험 또는 디지털포렌식 분야 근무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15 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네트워크 구성, 분석관 컴퓨터, 개인 도구·장비, 이미징 장치, 전용 SW, 오픈소스 SW, 공용 도구·장비, 액세서리, 기타 고려사항의 9가지 영역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디지털증거분석실의 도구·장비 목록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디지털증거분석실 구축 발전방안으로 공간/도구·장비 목록 표준화, 디지털포렌식 도구·장비 민간 지원·위탁 체계 수립, 미래 디지털증거분석실 인프라 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는 향 후 디지털포렌식 기능을 신설하고 디지털증거분석실을 구축하고자 하는 기관/조직이 도구·장비 및 인프라 설계 등에 기여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3.1 포커스 그룹 인터뷰
3.2 연구 대상
3.3 연구 진행 및 절차
4. 연구결과
4.1 네트워크 구성
4.2 분석관 컴퓨터
4.3 개인 도구 및 장비
4.4 이미징 장치
4.5 전용 SW
4.6 오픈소스 SW
4.7 공용 도구·장비
4.8 액세서리
4.9 기타 고려사항
4.10 디지털증거분석실 도구·장비 도출
5. 발전방안
5.1 디지털증거분석실 공간/도구·장비 목록 표준화
5.2 디지털포렌식 조직/기관 육성
5.3 디지털증거분석실 미래 설계방안
6.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수민 Su-Min Shin. 성균관대학교 과학수사학과 박사과정
  • 박현민 Hyeon-Min Park. 성균관대학교 과학수사학과 석·박사통합과정
  • 김기범 Gi-Bum Kim. 성균관대학교 과학수사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