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韓非의 上古 관념과 이상적 君主像

원문정보

Hanfei's Notion of the Ancient Age and Ideal Image of the Monarch

한비의 상고 관념과 이상적 군주상

윤무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main text, first, the Hundred schools' concept of ancient age and the image of a monarch reflected therein were outl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al image of a monarch presented in Hanfeizi were derived. In the Hundred schools, terms such as “the Sage”(聖人) and “the Former King”(先王) and the Holy King(聖王)” appear as the subject of history while describing the concept of antiquity in common. Hanfei did not unconditionally elevate or criticize the ancient the Holy King(聖王), but evaluated i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ase. In particular, there were cases in which the Former King(先王) was criticiz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monarch and subjects, but rather defended in terms of so-called Fa(法), Shu(術), and Power(勢). Hanbi's ideal image of a monarch reflected the interest of Feudal Lords, who were immersed in centralization at the time. In other words, although the names of the ideal image of a monarch in Hanbi vary, in the end, ShangFa(賞罰) is implemented based on Fazhi(法治), and ShuShu(術數) is used to control subjects based on Power(權勢). Therefore, this was premised on the monarchs of each country who were conducting Bianfa(變法) at the time, and on the other hand, had the meaning of encouraging them. Therefore, the so-called "new Sage" of Han Fei is not a newly emerging Sage, but a monarch who practices the rule of law ideology organically combined with Fa(法), Shu(術), and Power(勢) designed by himself to fit the reality at the time. On the one hand, the ideal image of a monarch has certain limitations. First, the fact that Hanbi unconditionally exalted the monarch and lowered the vassal to fix his position as an agent of the rule of law is a clear principle of supremacy of military authority. This is in direct contrast to the MinBen(民本) idea of advanced he Hundred school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husband and wife was fixed up and down in the same way as the relationship between monarch and subject, and was set as a necessary condition for political stability. This reversed the mutual ethics of advanced Confucianism and became the source of the Sangang ethics of Han dynasty. All of the above came from the urgent need for centralization on the eve of unification at the time, but at the same time, it cannot but be pointed out as the limitations of the era of the legal community.

한국어

본문에서는 먼저 제자백가의 上古관념과 거기에 반영된 군주상을 개괄 하고, 『한비자』에 제시된 이상적 군주상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제자백가는 공통적으로 상고 관념을 서술하는 가운데 역사의 주체로서 “聖人”, “先王”, “聖王” 등의 용어가 등장한다. 한비는 고대의 선왕을 무조건적으로 높히거 나 비판하지 않고 사례에 따라 평가를 달리하였다. 특히 부모와 자식, 그리 고 군주와 신하의 관계에서는 선왕을 비판하면서도 이른바 법가의 法⋅術 ⋅勢의 측면에서는 오히려 옹호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비의 이상적 군주상은 당시 중앙집권화에 몰두하던 각국 제후들의 관 심을 반영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한비의 이상적 군주상의 명칭은 비록 다 양하지만 결국 법치에 기반하여 상벌을 시행하고, 권세를 기반으로 술수로 써 신하를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당시 변법을 진행하는 각국의 군주를 전제로 한 것이며 한편으로는 그들을 독려하는 의미를 지닌다. 따 라서 한비의 이른바 “새로운 성인”은 새롭게 출현하는 성인이 아니라 당시 현실에 맞게 자신이 설계한 법⋅술⋅세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법치 이념을 실천하는 군주상이다. 한편으로 한비가 제시한 이상적 군주상은 일정한 한계를 지닌다. 첫째, 한비가 무조건적으로 군주를 높이고 신하를 낮추어 법치의 대리인으로서 직분을 고정한 것은 명확한 군권지상주의이다. 이것은 선진 제자백가의 民 本관념과는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둘째, 군주와 신하 관계와 같은 방 식으로 부모와 자식, 남편과 아내의 관계도 상하로 고정하여 정치적 안정 의 필수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이것은 선진 유가의 상호 윤리를 전도시킨 것이며 漢代이후 三綱윤리의 근원이 되었다. 따라서 이상은 모두 당시 통 일 전야의 급박한 중앙집권의 필요성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동시에 법가의 시대적 한계로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목차

<논문 요약>
Ⅰ. 緖論
Ⅱ. 諸子百家의 上古관념과 君主像
1. 道家의 상고 관념과 聖人
2. 儒家의 상고 관념과 先王
3. 墨家의 상고 관념과 聖王
Ⅲ. 韓非의 상고 관념과 제가 비판
Ⅳ. 韓非의 이상적 君主像
Ⅴ. 結語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무학 Yun Muhak.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미래예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