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Japanese invasion destroyed Joseon's military and provincial defense systems. The Joseon Dynasty tried to stop the Japanese army by asking Ming for military service. The Ming army recaptured Pyongyang, which was occupied by the Japanese army, but did not try to fight when it lost the Battle of Byeokjegwan. As the Ming army avoided fighting against the Japanese, Joseon had to come up with a way to attack the Japanese army on its own. In this situation, Yu Seong-ryong came up with measures to prevent the Japanese army, and in this process, the installation of a training book was discussed. Yu Seong-ryong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Hullyeondogam, and even after his demise, he remained the largest military camp in the late Joseon Dynasty. Gwanghaegun was thoroughly prepared for the threat of the future. In this process,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Hullyeondogam were further expanded, and the actual increase of military power was also made. However, the training of loyal elite soldiers and the provision of sufficient operating expenses remained an eternal homework. Despite these operational problems, Hullyeondogam became the largest military camp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국어
일본군의 침략으로 조선의 군사 체제와 도성 방위 체제는 붕괴되었 다. 한양을 점령했던 일본군이 퇴각하면서 도성이 수복되었지만, 이미 도성의 주요 건축물은 소실되었고 치안의 부재로 혼란 상황이 지속되었 다. 구원을 위해 들어온 명군은 조선의 각 처에 주둔하고 있으면서 군량 만 소비할 뿐 일본군을 공격하려 하지 않았고, 일본군도 부산⋅동래 등 처에 주둔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 조정은 스스로 일본군을 격퇴 할 방안을 모색하였고, 그 과정에서 유성룡은 선조에게 啓辭를 올려 군 사를 모집⋅훈련하고 절강병법을 도입하기 위한 노력을 병행했다. 이처럼 훈련도감을 설립과 훈련⋅운영 방안 등을 규정하는 데 있어 유성룡의 역할은 절대적이었다. 그는 戚金을 통해 입수한 紀效新書 의 속오법에 따라 군제를 개편하였고, 참장 駱尙志를 통해 절강병법을 도입하고자 했다. 그의 노력으로 훈련도감은 국왕 선조의 시위와 도성 방어 등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전란이 끝날 무렵 유성룡이 북인 의 탄핵을 받으면서 훈련도감은 存廢의 기로에 섰다. 존폐의 갈림길에 있던 훈련도감은 광해군조에 들어와서 그 기능과 역 할이 더욱 확대되었다. 훈련도감은 親兵의 임무를 수행하였는데, 광해군 의 幸行시 훈련도감은 호위 업무를 수행하였다. 이 시기 훈련도감은 전 쟁에 필요한 무기의 제작과 보급하는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훈련도감의 위상과 역할이 증대된 만큼 운영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훈련도감에 필요한 병력의 충원과 만성적 군량 부족은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였다. 그런데도 광해군조에 들어와 훈련도감은 중앙의 최대 군영으 로 기반이 확실히 마련되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선조조 훈련도감의 설립과 운영
Ⅲ. 광해군조 훈련도감의 역할과 폐단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