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현행 영제(嶺制) 시조창의 노랫말 고증을 위한 문헌적 접근 ― 나손본 『악부』(건) 소재 시조창 작품을 대상으로 ―

원문정보

Literary Approach for Historical Verification of the Lyrics of the Current Yeongje Sijochang - For the Sijochang works in Akbu(樂府) Geon(乾) possessed by Nason

강경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text of Sijochang in the anthology of the late 19th century and to confirm its meaning in order to verify the lyrics of Yeongje Sijochang. The current Yeongje sijochang was handed down without considering the successive context in which the content or meaning was handed down and enjoyed in the Yeongnam region. Therefore, the sijochang text included in Gakjoeum was reviewed for Akbu(樂府) Geon(乾) possessed by Nason, an anthology in the late 19th century. Since Akbu(樂府) Geon(乾) possessed by Nason is an anthology used in Tongyeong Gyobang(敎坊), the Sijo text contained in it can be seen as containing the tradition of Yeongje Sijochang. First of all, this study selected 36 Sijochang text included in the Akbu(樂府). The sijochang texts of Akbu(樂府) are written in various forms.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the text of Sijochang simply by omitting the last note at the end. In addition, the Sijochang text could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complex factors such as the editing situation of anthology or the aspects of other anthologies. Next, the typ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ijochang works in A were included. As a result, ① Sijochang text type that was universally enjoyed in the mid-to-late 19th century, ② A type of text that was also universally enjoyed in a wide area, but with a unique change in lyrics ③ Lastly, it could be divided into the unique text types that can only be seen in this anthology. Among them, types ② and ③ can be seen as well co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Yeongje sijochang.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Gakjoeum of Akbu(樂府) was an item that reflected the editor's concerns about the Sijochang music and the composition of the Pyeongha(編歌) at the time. In addition, through this discussion proces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change in the lyrics of Sijochang and the tradition of Sijochang culture that pursued new works in the flow of Sijo Art History in the late 19th century.

한국어

이 글은 영제 시조창 노랫말의 고증을 위해 19세기 후반 가집에 수록된 시조창 텍스트를 살펴보고 그 의미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행 영제 시조창은 그 내용이나 의미가 영남 지역에서 전승⋅향유된 계승적 맥락이 거의 고려되지 않은 채 전승되고 있다. 따라서 19세기 후반 가집 나손본 『악부』(건)을 대상으로, 각조음 항목에 수록된 시조창 텍스트를 검토하였다. 『악부』는 영남 지역의 통영 교방에서 활용된 가집이기에 여기에 수록된 시조 텍스트는 영제 시조창의 전통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먼저 『악부』에 수록된 36수의 시조창 텍스트를 선별하였 다. 『악부』 소재 시조창 텍스트들은 다양한 형태로 표기되어 있다. 때문 에 단순히 종장 마지막 음보의 생략 유무만으로 시조창 텍스트를 판정 할 수 없고, 가집 편집 상황이나 타 가집 수록 양상 등 복합적 요소들을 고려하여 시조창 텍스트를 확정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악부』 수록 시조창 작품들의 유형 분류와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① 19세기 중 후반 보편적으로 향유되었던 시조창 텍스트 유형, ② 역시 폭넓은 지역 에서 보편적으로 향유되었지만 독특한 노랫말 변화가 나타나는 텍스트 유형, ③ 마지막으로 이 가집에서만 볼 수 있는 유일본 텍스트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 중 ②, ③ 유형이 영제 시조창의 특색을 잘 담고 있 다고 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악부』의 각조음은 당시 시조창 악곡과 편가 구성에 대한 편자의 고민이 반영된 항목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논의 과정을 통해 19세기 후반 시조예술사의 흐름 속에서 시조창 노랫말의 변화와 새로운 작품을 추구했던 시조창 문화의 전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악부』(건) 각조음 항목에 수록된 시조창
Ⅲ.『악부』(건) 수록 영제 시조창의 유형 분류와 특징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경호 Kang Kyung Ho. 경상국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