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원 파견교사의 지역연계 교육과정 지원 실행연구

원문정보

Action research on Support for Regional Linked Curriculum by Teachers Dispatched to Graduate Schools

신철균, 고낙원, 고영남, 김평강, 이상모, 함진숙, 김명희

피인용수 : 1(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ion research process on support of regionally-linked curriculum in schools conducted by graduate school dispatched teachers, and to examine the role of dispatched teachers in regional educational cooper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practice research on regionally-connected education. To this end, the research team composed of trainees dispatched to the graduate school carried out support activities to activate regional-linked educational activities within the school curriculum and to encourage teachers to step outside the school and connect with the village. Specific support activities include provision of regional-linked curriculum materials, online map production (local educational resource mapping), connection of villagers, and support for village feasts. As a result of this action research, the support for regional-linked educational activities by dispatched teachers not only helped schools to operate regionally connected curriculum, bu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for dispatched teachers to support unit schools and grow as experts in local education. The following are the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f dispatched teachers. First, the school support activities of dispatched teachers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role of dispatched teachers and rethink the meaning of graduate school training. Second, it is meaningful as an activity that helped to improve school education activities by matching the areas that needed support from local schools with the expertise that graduate school dispatched teachers have accumulated as teachers. Third,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f dispatched teachers has the meaning of linking the parts learned at the graduate school with the school field.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원 파견교사로 구성된 연구진이 학교의 지역연계 교육과정과 학교와 마을의 연계를 지원하여 학교의 지역연계 교육활동 개선에 목적을 둔 실행연구이다. 연구진은 단위 학교 교육과정 안에서 지역연계 교육활동을 활성화하고, 교사들이 학교 밖 마을과 연계하는 활동을 지원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진은 학교의 지역연계 교육과정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연계 교육과정 제공, 온라인 지도 제작(지역 교육자원 지도화), 마을주민과의 연결 지원 등의 활동을 학교 현장 교사들과 함께 실행하였다. 실행연구 결과 파견교사의 지역연계 교육 활동 지원이 학교가 지역연계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파견교사 가 단위학교를 지원하고 지역교육 전문가로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파견교사의 참여 실 행연구를 통해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파견교사의 학교 지원 활동은 파견교사의 역할과 파견연수의 의미를 새롭게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대학원 파견교사들이 교사 로서 쌓아온 전문성과 지역 학교의 지원이 필요한 부분이 매칭되어 학교 교육활동 개선에 도 움을 준 활동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 셋째, 파견교사의 참여실행연구는 대학원 교육과정을 학 교 현장과 더욱 긴밀하게 연계시킬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대학원 석사과정 파견연수제도와 파견교사의 역할
2. 마을교육공동체와 지역연계 교육과정
Ⅲ. 연구 방법
1. 연구 방법 및 절차
2. 연구 대상
3. 자료 수집 및 분석
Ⅳ. 지역연계 교육과정 실행과정과 결과
1. 지역연계 교육과정 운영 지원 실행과정
2. 지역연계 교육과정 운영 지원 실행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철균 Shin, Chol-Kyun. 강원대학교 교수
  • 고낙원 Ko, Nak-won. 강원대학교 석사과정
  • 고영남 Go, Young-nam. 강원대학교 석사과정
  • 김평강 Kim, Pyeong-gang. 강원대학교 석사과정
  • 이상모 Lee, Sang-mo. 강원대학교 석사과정
  • 함진숙 Ham, Jin-suk. 강원대학교 석사과정
  • 김명희 Kim, Myeong-hee. 강원대학교 석사과정

참고문헌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