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민선교육감 이후 교육전문직원 유형과 역할 변화 탐색

원문정보

Exploration of the types and roles of the Educational Supervisor after the Elected Superintendent of Education

김성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atterns and causes of changes in the Office of Education that occurr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in which residents directly vote and elect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Second, I analyze the positive and negative types of the educational supervisors and examine the structural constraints they face. Third, I would like to suggest the roles and tasks of educational supervisors required in the era of self-government education. For these purpose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people, including teachers and tenure-term officials, who worked, or interacted with educational supervisor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Since the emergence of superintendent through direct voting, positive changes have been confirmed in the Office of Education. The cause of the change was analyzed as ① election mechanism ② superintendent's leadership ③ transition committee and governance ④ human resource replacement and inflow of various resources ⑤ inflow and activity of professional staff with field practice experience. There are three structural constraints experienced by education professionals: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Office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supervisors The types of educational supervisors are divided into positive types and negative types. The positive type was named ① innovator type, ② learning community participation type, and ③ field network utilization type. Negative types can be classified into ① authoritarian type, ② incompetent type, ③ status quo type, ④ promotion-oriented type, and ⑤ self-experience confidence typ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 proposed the roles and tasks of educational supervisor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민직선교육감제 시행 이후에 나타난 교육청의 변화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교육전문직원이 처한 구조적 제약 요건을 살펴본다. 셋째, 교육전문직원의 긍정과 부정 유형을 탐색해본다. 이를 위하여 교육전문직원으로 살았거 나 활동하고 있거나, 그들과 상호작용을 했던 교원과 임기제 공무원을 포함한 15인과 면담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민직선교육감 이후에 교육청에는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변화의 원인은 ① 선거 메커니즘 ② 교육감의 리더십 ③ 인수위와 거버넌스 ④ 인적 교체와 다양한 자원 유입 ⑤ 현장 실천 경험을 지닌 전문직원의 유입 및 활약으로 분석되었 다. 교육전문직원들이 접한 제약 조건은 크게 교육부, 교육청, 전문직원 차원으로 나누어 제 시하였다. 교육전문직원의 유형은 크게 긍정형과 부정형으로 제시하였다. 긍정 유형은 ① 혁 신가형 ② 학습공동체 참여조직형 ③ 현장 네트워크 활용형으로 명명하였다. 부정 유형은 ① 권위주의형 ② 무능형 ③ 현상유지형 ④ 승진지향형 ⑤ 자기경험 확신형으로 분류할 수 있 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전문직원의 역할과 과제에 대해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Ⅱ. 선행연구 분석
1. 교육자치
2. 교육청의 조직문화
3. 교육전문직원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1. 주민직선교육감 이후의 교육청 변화 양상과 요인
2. 구조적 제약
3. 교육전문직원 유형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성천 Kim, Seong-cheon. 한국교원대학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