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표해록을 통해 본 동아시아 해양관의 변화와 <태원지>

원문정보

Changes in East Asia’s Maritime View through Pyohaerok and Taewonji

강혜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tried to explore the drivers of creating Taewonji through the changes in the view of the sea that appeared in Pyohaerok in the early and late Joseon Dynasty. In the case of the early Joseon Dynasty,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continent rather than the sea. Not only military threats generally come from the continent, but also the tendency regarding Japan as barbarians increasingly accelerated due to conquest of Tsushima Island and the political situation in Japan. This tendency composed the view of sea as a border that does not need to be opened. Therefore even though the title of Pyohae was used as the title of Pyohaerok, the interests appeared only in the continent through both the narrative attitude and the background of publication. However, interest in the sea began to increase in the late Joseon Dynast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and drift was also redefined as an unofficial channel to secure knowledge of not only China but also the entire overseas information and the entire worldview built by it. Accordingly Pyojurok writt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shows a meticulous observation of Emishi, not China, and the existing worldview is also shaken. Therefore, it was no coincidence that drift appeared as a key material in Taewonji. In the late Joseon Dynasty, drift was like a symbol of interest in the sea and beyond. Therefore the plot of Taewonji, encountering a new continent at the end of the drift, becomes natural in itself. In particular, the fictional drift of Taewonji had unconventionality and creativity beyond even the Pyohaerok. In Taewonji the main characters moved east, not west, and the new continent they met is also shaped as an equally cultural country as existing world. Thus at this point shaping the drift of Taewonji into a the mandate of heaven is strongly justified. The mandate of heaven has brought the main characters who desire change to the optimal space. At this point two questions about the narrative after Taewon could be solved. The first question is the contradiction that Jong-hwang and Pyeong-gei, which refer to the evils of war, start a war in Taewon again. The second is that Taewonji persistently borrows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after the landing in Taewon. In particular, the borrowing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could not achieve literary achievement in the individual phase of narrative development, so it was necessary to clarify the intention of the borrowing in another aspect. Since the image of Taewon examined in this paper could be an answer, it was intended to embody Taewon as a space of difference not barbarians. Thus, the confrontation pattern in Taewon is evenly combined with the confrontation patterns with Namman, Jojo, and Yujang in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and Taewon can be drawn as a space full of talent and loyalty.

한국어

본고에서는 조선 전기와 후기의 표해록에 나타난 해양관의 변화를 통해 <태원 지>의 창작 동인을 탐색해보고자 했다. 먼저 조선 전기의 경우 줄곧 바다보다는 대륙 쪽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기존의 군사적 위협이 대체로 대륙에서 왔을 뿐만 아니라 대마도 정벌의 파급효과와 일본 국내의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일본이적관이 갈수록 가속화된 것도 이에 한몫했다. 한반도의 지리적 특성상 일본은 거의 유일한 해양세력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일본이적관의 경향은 곧 바다를 ‘굳이 열 필요가 없는 국경’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데 일조했다. 그리하여 최부의 『표해록』은 漂海를 표제로 내세웠음에도 불구하고 서술 태도와 간행 배경 양쪽에서 모두 대륙에 대한 관심만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임진왜란을 겪으며 조선 후기에는 바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고, 표류 또한 중원뿐만 아니라 해외 정보 전반, 더 나아가 그로써 구축되는 온전한 세계상에 대한 지식을 확보하는 비공식적 통로로 재의미화되었다. 이에 조선 후기 표해록인 『표주록』의 경우에는 중원이 아닌 에조 에 대해서도 꼼꼼히 관찰하는 태도가 나타나고 있으며, 기존의 세계관이 흔들리는 모습 또한 간취된다. 따라서 <태원지>에서 표류가 핵심적인 소재로 나타나는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조선 후기에 표류란 바다와 그 너머에 대한 관심의 상징과도 같았다. 그러므로 표류 끝에 새로운 대륙을 조우한다는 <태원지>의 얼개는 그 자체로 유기적인 것이 된다. 특히 <태원지>의 허구적 표류는 표해록조차 넘어서는 파격성과 창조성을 지니고 있었다. <태원지>에서 주인공 일행은 서쪽이 아닌 동쪽으로 나아가며 그로써 만난 낯설고도 새로운 대륙 또한 ‘동등한 문화국’으로 형상화된다. 반면에 중원은 소모적인 전쟁이 반복되는 구대륙으로, 부정적으로 표상되고 있다. 그리하여 이 시점에서 <태원지>의 표류가 천명으로 형상화되는 것이 강력한 당 위성을 획득하게 된다. 천명은 변화를 욕망하는 주인공들을 그것이 실현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진 최적의 공간으로 데려다 놓았던 것이다. 바로 여기서 태원 이후의 서사가 지닌 의문점 두 가지가 해결된다. 전쟁의 폐해를 말하는 종황과 평거이가 다시 태원에서 전쟁을 일으키는 모순과, 태원 표착 이후 유독 <삼국지연의>가 집요 하게 차용된다는 점이 그것이다. 특히 <삼국지연의> 차용은 서사 전개의 개별적 국면에서는 별다른 문학적 성취를 거두지 못하고 있어 차용의 의도를 다른 측면에 서 규명할 필요가 있었다. 본고에서 살핀 태원의 형상화가 그 답이 될 수 있으니 곧 태원을 夷가 아닌 異의 공간으로 묘파하고자 함이었다. 그리하여 태원에서의 대립 양상에는 <삼국지연의> 속 남만, 조조, 유장과의 대립 양상이 골고루 결합 되어 차용되고 있는바, 태원은 이로써 명백한 이민족의 공간이면서 인재와 충의 지사로 충만한 공간으로 그려질 수 있게 된다.

목차

[국문초록]
1. 문제 제기
2. 조선 초 동아시아 정세와 『표해록』
3. 임진왜란 이후 표류의 의미 변화
4. <태원지>의 허구적 표류가 갖는 창조적 의미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혜진 Kang, HyeJin. 광운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