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기반 통계 분석 연구 : 중국·미국 국적의 초급 학습자 집단 간 비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Corpu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 Focused on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of Basic Level Learners: Chinese and Americans

신민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at verifying differences in frequency of error types statistically represented in error annotated corpus from basic 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analyzing specific error types between two groups. Prior to analyze, the groups have been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basic level learners of Chinese native speakers whose nationality is Chinese and English native speakers whose nationality is the United States. According to the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rror types of ‘omission’, ‘add’ and ‘discourse’. Following that, based on the parts of speech(POS) of those error types,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two groups have been found. If research and verification on Korean language acquisition are conduc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can move on to developing efficient teaching methods that can reduce errors in Chinese and English-speaking group learners.

한국어

본 연구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 오류 주석 말뭉치에 나타나는 집단 간 오류 유형별 빈도 차이를 통계적으 로 검증하고 집단에 따른 특정 오류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국 국적의 모국어 중국어 2급 학 습자와 미국 국적의 모국어 영어 2급 학습자의 문어 말뭉치 자료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두 집단의 오류 유형 별 빈도 차이에 대한 통계적 검증 결과 ‘누락’, ‘첨가’, ‘담화’ 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차이가 나타난 세 가지 오류 유형을 세부적으로 살펴 집단별 오류 발생 품사를 제시하면서 집단 간의 차 이와 특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한 연구 결과를 기초 자료로 삼아 중국어권,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습 득 단계 및 단계별 특징에 대한 연구와 검증이 이루어진다면 해당 집단 학습자의 오류를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교수법 개발 등으로 나아갈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집단 간 평균 차이 검정 결과
Ⅲ. 집단별 특정 오류 유형
Ⅳ.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신민섭 Min-Sub Shin.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