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죽천 조최수의 『壬子燕行日記』・『燕行酬唱錄』의 서술방식과 문학적 표상

원문정보

The Description Methods and Literary Representations of Imjayeonhaengilgii and Yeonhaengsuchangrok by Jukcheon Jo Choi-Su

죽천 조최수의 『임자연행일기』・『연행수창록』의 서술방식과 문학적 표상

문희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description methods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of Imjayeonhaengilgii and Yeonhaengsuchangrok by Jukcheon Jo Choi-su(1670~1739). Jo is relatively less known in the academic circles for his activities and importance. He went on an envoy mission to Beijing with the title of Saeunbusa in 1732(the year of Imja, the eigh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He left Imjayeonhaengilgii and Yeonhaengsuchangrok as an outcome of his envoy mission. Imjayeonhaengilgii is a record of his envoy mission to Beijing in the journal form. He wrote down this journal on July 28~September 26, 1732.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its description methods, it is difficult to find his lyrical descriptions of his personal loneliness during his trip to Beijing. In this record, he was loyal to the areas, people, institutions and customs, and facts of Qing that he faced and encountered along the route of his trip to Beijing. Yeonhaengsuchangrok consists of two volumes based on the Suchang Chinese poem on a scroll under the same title. A total of six authors participated in the work, but the works of Jo Choi-su, Lee Ui-hyeon, and Han Deok-hu took the main stage. This collection of poems contains Busa Jo's 130 works and two Yeongus of seven Eons and two Gus, Jeongsa Lee's 60 works, and Seojanggwan Han's 117 works. This collection of Chinese poems is in the form of Chawoon by the three writers. The characteristics of works represented by Yeonhaengsuchangrok were examined in four topics including Hyeongseungtammi of Uijudaero, Heomnamsingo of the envoy mission trip, and the history of Joseon along the route of the envoy mission, and the feelings of relief and joy on the way back home.

한국어

이 연구는 竹泉 趙最壽(1670~1739)의 『임자연행일기』와 『연행수창록』을 중심으로 작품의 서술방식과 문학적 특징을 연구한 것이다. 조최수는 인물의 활동과 중요성에 비하여 아직까지 학계에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다. 조최수는 1732년(임자, 영조8) 사은부사의 자격으로 연경으로 사행을 다녀왔다. 연행의 결과물로 『임자연행일기』와 『연행수창록』을 남겼다. 『임자연행일기』는 일기 형식의 연행록이다. 이 연행일기의 기록일은 1732년 7월 28일 부터 ~ 9월 26일까지이다. 『임자연행일기』의 서술방식의 특징은 연행노정에서 느끼는 조최수 개인의 客懷 같은 서정적 서술은 찾아보기 어렵다. 다만 연행의 길 위에서 만나고 접한 청나라의 자연과 사람, 풍물과 사실에 충실한 기술방식을 취하고 있다. 『연행수창록』은 두루마리 점련본으로 존재하던 수창한시를 동일 제목 두 권의 책으로 성책한 것이다. 수록 작가는 총 6인이나 조최수・이의현・한덕후 세 사람의 작품이 주를 이룬다. 이 시집은 부사 조최수의 작품 130수와 7언 2구의 聯句 2구, 정사 이의현의 작품 60수, 서장관 한덕후의 작품 117수가 수록된 三使의 수창 한시집이다. 이 연구에서는 『연행수창록』에 표상화된 작품의 특징을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제로 살펴보았다. 첫째, 義州大路의 形勝耽美 둘째, 使行旅程의 險難辛苦 셋째, 使行路에서 만난 고구려 역사 넷째, 歸路의 안도감과 환희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조최수의 생애와 후손의 공주 입향
3. 『임자연행일기』의 서술방식과 특징
4. 『연행수창록』의 실상과 문학적 표상
5. 『임자연행일기』・『연행수창록』의 문학사적 의의
6.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문희순 Moon, Hee-Soon.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