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Indie Album Thumbnail
초록
영어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rate of using music streaming sites, the image of albums that look smaller on mobile apps and sites than physical albums when using existing CD players is becoming more familiar. The importance of album thumbnail design is emerging in the music market as more and more consumers only see these images and listen to music. Among them, visual expression is especially important because there are few consumers or many unique genres of music, and I wanted to study the album thumbnail of indie music in anticipation of various expressions to contain artists' identity. As a research method, charts from 2010 to 2021 were investigated on music streaming sites, album thumbnails of 30 indie genres were extracted, divided into three visual characteristics: typography, image, and color, and analyzed using the Korean Standard Color Analysis (KSCA) program.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titles and fonts that did not interfere with image writing were mainly used in typography characteristics. Second, in terms of image characteristics, it can be seen that the image of the full front is mainly used rather than the margin. Third, in terms of color characteristics, brightness and saturation were the most low values, so it was found that the somewhat depressing and gentle atmosphere was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indie album thumbnail. Through this study, we hop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album thumbnail and to help reflect indie music's album thumbnail design work in the future.
한국어
최근 음악 스트리밍 사이트를 이용하는 비율이 높 아짐에 따라 기존의 CD 플레이어 등을 사용했을 때 의 피지컬 앨범보다는 모바일 앱, 사이트에서 작게 보이는 앨범 이미지가 익숙해지고 있다. 소위 ‘앨범 섬네일’이라고 하는 이러한 이미지만 보고 음악을 듣는 소비자들도 늘어나면서 음악 시장에서 앨범 섬 네일 디자인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 중 독립 적인 형태의 인디 음악은 소비자가 적거나 독특한 장 르의 음악이 많기 때문에 특히나 시각적인 표현이 중 요할 것이라고 생각되며, 아티스트들만의 정체성을 담기 위해 다양한 표현이 나타날 것을 기대하면서 인 디 음악의 앨범 섬네일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음악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2010 년부터 2021년까지의 차트를 조사하고 30개의 인디 장르의 앨범 섬네일을 추출하여 타이포그래피, 이미 지, 색채 3가지의 시각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빈도 분 석하고 색채에서는 한국 표준색 색채 분석(KSCA)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타이포그래피 특징에서는 이미 지 쓰임에 방해되지 않는 타이틀과 서체가 주로 쓰임 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이미지 특징에서는 여백보다 는 꽉 채워진 전면의 이미지가 주로 쓰임을 알 수 있 었다. 셋째, 컬러 특징에서는 명도와 채도는 낮은 값이 가장 많았기 때문에 다소 우울하고 점잖은 분위기 가 인디 앨범 섬네일의 색상 특징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앨범 섬네일로서 중요성을 파악하고 향후 인디 음악의 앨범 섬네일 디자인 작업 반영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앨범 커버 디자인의 개념과 특성
2.2. 인디 음악 현황 및 커버 이미지 관계
2.3. 섬네일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
3. 앨범 섬네일의 시각적 특성 분석
3.1. 분석 대상 및 방법
3.2. 타이포그래피 분석
3.3. 이미지 분석
3.4. 색채 분석
4. 결론 및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