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ction Research of Participatory Design Educational Programs for Adolescent - Focusing on graphic development for regeneration of library idle space -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principles for developing a participatory design program for local adolescents, to present its concrete curriculum, and then to verify its educational meanings by analytically reviewing its execution process. As the methods of performing this study,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design workshop, and survey & interviews were conducted. First, this study considered the development principles of participatory design program based on life, site, and relationship, and also considered the design methodology utilized for the performance of program. Second, based on this, it designed a design educational program and progressed workshop. Third,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program were verified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learners were able to grow into independent learning beings that could internalize the aesthetic value through life-based design activities. They could also expand the meaning of the site through the exploration on local content. Lastly, they could ruminate on the meanings of individual and relationship in the context of community by creating a design outcome through mutual respect and cooperative activity between participant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청소년 대상 참여형 디자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원리를 연구하고 구체적 커리큘럼 제시와 함께 그 실행과정을 분석적으로 검 토함으로써 그 교육적 의미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수행을 위한 방법으로 이론적 고찰, 디자인 워크숍, 설문 및 인터뷰를 진행했다. 첫째, 참여적 디 자인 프로그램 개발 원리를 삶, 장소, 관계를 기반으 로 고찰하고, 교육에 활용되는 디자인방법론을 이론 적으로 고찰했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교육 프 로그램을 설계하고 워크숍을 진행했다. 셋째, 참여자 를 대상으로 한 질문지 및 인터뷰를 통해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는 삶에 기반한 디자인활동을 통 해 미적 가치를 내면화하는 주체적 학습존재로 성장 하고, 지역의 문화 콘텐츠를 통해 장소의 의미를 확 장할 수 있었다. 또 참여자 간의 상호존중, 협력을 통 해 함께 디자인결과물을 창출함으로써 공동체 맥락 안에서의 개인, 관계성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참여적 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원리
2.1. 삶 기반
2.2. 장소 기반
2.3. 관계 기반
3. 디자인방법론의 이론적 고찰
3.1. 문헌 검토(Literature Reviews)
3.2. 문화 조사(Cultural Probes)
3.3. 창의적 도구 키트(Creative Toolkits)
3.4. 디자인 샤레트(Design Charette)
3.5. 모의 실습(Simulation Exercises)
4.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4.1. 프로그램 개발
4.1.1. 프로그램 개요
4.1.2. 프로그램 교육목표
4.1.3. 디자인방법론을 활용한 프로그램 구성
4.2. 프로그램 실행 및 결과도출
4.2.1. 문헌 검토
4.2.2. 문화 조사
4.2.3. 창의적 도구 키트
4.2.4. 디자인 샤레트
4.2.5. 모의 실습
4.2.6. 협동작업을 통한 채색 및 완성
4.3. 프로그램 결과 고찰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