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망각 또는 왜곡 - 춘추시대 曾國의 역사 고쳐쓰기 -

원문정보

Forgetting or Distorting - Rewriting the History of the Zeng Vessel State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

망각 또는 왜곡 - 춘추시대 증국의 역사 고쳐쓰기 -

김정열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49집 2022.12 pp.385-41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Zeng vessel state is one of the several nations during the Eastern Zhou period (770-256 BCE) located in Suizhou, Hubei Province. It was a venerable state that maintained its renown for about 700 years, from when it became a Feudal Prince of this area in the early Western Zhou period (11th cent.-770 BCE) until the Chu State army forcibly integrated it in the middle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481/403-221 BCE). This article examines the aspect of rewriting the history of the Zeng state's prince family. It is based on the inscriptions on the Zengongqiu Bronze Chime Bell, Naijia Bronze Chime Bell, and Zenghouyu Bronze Chime Bell produced by the prince family of Zeng state. They were excavated from Zaoshulin Cemetery and Wenfengta Cemetery of the Yidigang Ceme tery complex. In the inscriptions mentioned above, contradictory or anachronistic contents frequently appear. Previous studies have generally considered that the descriptions in each of them are 'facts' and that the history of the Zeng state can be built close to facts by harmoniz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However, the Zeng state rewrote its history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770-476 BCE), which is how the contradiction came to be. Therefore, it makes perfect sense that there would be contradictions there. Rewriting the history of the Zeng state has already begun through forgetting or distorting since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which is historical upheaval, at the latest. The history they described did not aim to convey the actual events faithfully but focused on justifying and propagating their authority (or power) following the actual situation. This study help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ts history by various historical descriptors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rough it, it is confirmed again that rewriting took place in not only classical but also newly excavated literatures, the latter of which is highly reliable due to its contemporaneity and novelty.

한국어

曾國은 지금의 湖北 隨州 일원에 위치한 東周 列國 가운데 하나이다. 증국이 서주 전기에 이지역에 봉건된 이래 戰國 중기에 楚國에 병탄될 때까지 약 700년 동안 그 명맥을 유지한 유서 깊은 국가였다. 이 글은 義地崗墓地群의 棗樹林墓地와 文峰塔墓地에서 출토된, 춘추시대 증국의公室에서 제작된 증공구편종, 내가편종, 증후여편종에 주조된 명문을 통해 증국 공실의 역사 고쳐쓰기 양상을 검토한 것이다. 위의 명문 자료들에는 서로 모순되거나 시대착오적인 내용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대체로 그 각각에 나타나는 서술이 모두 ‘사실’이라고 생각하고, 그들 사이에 나타나는 차이를 조화롭게 조정함으로써 증국의 역사를 사실에 가깝게 구축할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필자는 거기에 나타나는 모순이 춘추시대 증국의 역사 고쳐쓰기로말미암아 나타난 현상이며, 따라서 거기에 나타난 모순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라 생각한다. 증국의 역사 고쳐쓰기는 늦어도 역사적 격변기인 춘추시대부터 이미 망각 또는 왜곡을 통해 시작되었다. 그들이 서술하고 있던 역사는 실제 일어난 사건을 충실하게 전달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 상황에 맞추어 자신들의 권위(또는 권력)을 정당화하고 선전하는 데 그 초점이 놓여있었다. 이 연구는 춘추시대의 다양한 역사서술 주체들이 자신의 역사를 정립해가는 과정에 대한우리들의 이해를 심화시켜 주는 데 보탬이 된다. 이를 통해 전래문헌은 말할 것도 없고, 동시대성과 참신성으로 인해 높은 신뢰성을 부여받는 출토문헌 역시 그 고쳐쓰기의 과정 속에 위치하고 있는 것임을 다시 확인하게 된다.

목차

I. 머리말
II. 자료 출토 유구와 연대적 위치
III. 자료의 繹讀
1. 증공구편종
2. 내가편종
3. 증후여편종
IV. 고쳐쓰는 역사
1. 모순의 노정
2. 역사의 再構
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정열 Kim, Jung-ryol. 숭실대학교 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