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해방 이후~1950년대 자료를 통해 본 3·1운동 - 잡지 『新天地』와 이병헌의 『三一運動祕史』(1959)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March 1st Movement, which was analyzed through historical records from the Liberation to the 1950s - focusing on the Magazine "Shincheonji" and "Secret History of March 1st Movement" -

해방 이후~1950년대 자료를 통해 본 3·1운동 - 잡지 『신천지』와 이병헌의 『삼일운동비사』(1959)를 중심으로 -

진주완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49집 2022.12 pp.251-26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analyzes the special issue o f the 『Shincheonji』 March 1st Movement and the 『Secret History of March 1st Movement』 to study the context of the retrospective and memories of the March 1st Movement from liberation to the 1950s. What can be seen through this is as follows.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South Korean society remembered the March 1st Movement as a national event involving various classes. In the March 1946 issue of 『Shincheonji』, it contained a retrospective of national representatives, students, women, foreigners, novelists, playwrights, as well as figures classified as Pro-Japanese Collaborators. In other words, it is judged that South Korean society during this period has a strong image of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in which all ethnic members participated across the March 1st Movement. However, the March 1950 issue of 『Shincheonji』 is limited in the number of writers as national representatives and educators, and its contents are also filled with contents emphasizing the historical meaning of nonviolence and the pursuit of freedom. This was meant to counter the leftist percept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to drive out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furthermore, to counter North Korea's claim that the March 1st Movement was a failure. The 『Secret History of March 1st Movement』 published in 1959, is a collection of materials published by Cheondogans, who were suffering from pressure and internal division in the 1st Republic, to commemorate the 40th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1957, there was an incident in which "national representatives claimed violent protests" was recorded on the tombstone, which was feared to recognize that the entire national representative condoned or encouraged violent protests. Accordingly, Lee Byung-hun, who served as the vice-principal of Cheondogyo, revealed that the national representatives opposed violent protests, emphasized the ideology of freedom and peace, and tried to promote the spirit of the March 1st Movement. However, errors such as omitting or falsifying some of the statements made by national representatives are found in this process. In addition,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independence demonstrations are somewhat less complete, with sources and statistics not properly organized, and errors found in basic areas such as lives and sentences.

한국어

이 글은 『신천지』 3·1운동 특집호와 『삼일운동비사』를 분석함으로써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까지 3·1운동에 대한 회고와 기억이 어떠한 맥락을 가지고 정리되었는지를 연구한 글이다. 이를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해방 직후 남한 사회는 3·1운동을 다양한 계층이 참여한 민족적 사건으로 기억하였다. 『신천지』 1946년 3월호에는 민족대표, 학생, 여성, 외국인, 소설가, 극작가는 물론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분류되는 인물들의 회고도 수록하였다. 즉 이 시기 남한사회는3·1운동을 계층을 가로질러 모든 민족구성원들이 참여한 항일독립운동의 이미지가 강하게 남아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신천지』 1950년 3월호는 민족대표, 교육자 등으로 필자의 수도 제한되고, 그 내용도 비폭력과 자유의 추구라는 세계사적 의미를 강조하는 내용으로 채워진다. 이는3·1운동의 반제국주의적인 요소를 강조하여, 미군정을 몰아내고자 한 좌익의 3·1운동 인식에대항하는 의미가 강했으며, 나아가 3·1운동을 실패로 규정하고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이 독립운동의 주류였음을 주장하는 북한의 주장에 대항하고자 함이었다. 1959년 발간된 『삼일운동비사』는 1공화국의 압박과 내부 분열로 신음하고 있던 천도교인들이3·1운동 4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발간한 자료집이다. 1957년 월남 이상재의 묘를 이장하면서 묘비에 ‘민족대표들이 폭력시위를 주장했다’는 내용이 기록되는 사건이 있었는데, 자칫 민족대표 전체가 폭력시위를 묵인하거나 조장했다고 인식할 우려가 있는 사건이었다. 이에 천도교 부교령을 역임한 이병헌은 민족대표들의 신문조서를 비롯한 공판기록물을 통해 민족대표들이 폭력시위를 반대하고 자유와 평화의 이념을 강조하며 3·1운동을 기획하였음을 밝히고, 이를 통해 3·1운동의정신을 고취하고자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민족대표들의 진술내용 일부를 누락시키거나 변조하는 등의 오류가 발견된다. 또한 국내외 만세시위는 출처와 통계도 제대로 정리되지않았고, 인명이나 형기 등 기초적인 부분에서 오기가 발견되는 등 완성도가 다소 떨어지는 모습을보인다.

목차

1. 머리말
2. 『신천지』3ㆍ1운동 특집에서 나타난 3ㆍ1운동에 대한 인식 변화
3. 『삼일운동비사』을 통해 본 1950년대 민족대표에 대한 기억
4.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진주완 Jin, Ju Wan. 독립기념관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