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근대 여성지식의 계승, 확산, 그리고 국제교류 - 『조선요리제법』과 Korean Recipes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Inheritance, Diffusion, and Global Exchange of Modern Women’s Knowledge - Focused on JoseonYoriJaebup and Korean Recipes -

윤정란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49집 2022.12 pp.175-20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cusing on JoseonYoriJaebup and Korean Recipes, this paper intends to reveal how women's knowledge of Korea in the modern period was inherited, spread, and globalized. First of all, the reason that JoseonYoriJaebup was able to be published in 1917 was that there was a food recipe written in Korean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it was because there was a book written in Korean written by Bingheogak Lee (빙허각이씨, 憑虛閣 李氏)in 1809, and a summary o f this book, BuInPilji. Concerning this book, Shin-Young Bang created the recipe for Joseon cuisine through his mother's oral instructions. Through this process, the knowledge of women of that era could be inherited because it was writ ten in Hangeul. JoseonYoriJaebup published a total of 12 prints between 1917 and 1943 and sold at least 24,000 copies. The fact that this book sold this much means that women's knowledge has been expanded through commercial distribution. During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omen's knowledge about housekeeping spread widel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ommercial distribution networks and active sales strategies to reach customers. Since the Joseon Dynasty, the case of female knowledge has been inherited and spread, JoseonYoriJaebup was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as Korea Recipes, thereby establishing a global exchange of women's knowledge. The Joseon cookbook, which began with the Bingheogak Lee clan's Gyuhapchongseo (閨閤叢書 ), provided a modern standardization by Bang Shin-yeong, and was distributed to the West by Harriet Morris. This case shows well how the inheritance of Korean women's knowledge and global exchange took place, inherited women's knowledge from the Joseon Dynasty to the modern era was possible as the global exchange thanks to the global Christian relationship network established after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is relationship network was created by missionaries who visited Korea after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western modern culture was directly introduced into Korean society through the global Christian relationship network established by Korean missionaries. At the same time, the knowledge of women inherited through Hangeul(Korean letters) was made possible for global exchange through this network of relationships. Harriet published and sold K orean Recipes through this network.

한국어

본고에서는 『조선요리제법』과 Korean Recipes 를 중심으로 근대시기 한국의 여성지식이 어떻게계승, 확산, 그리고 국제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1917년 『조선요리제법』이 출간될 수 있었던 것은 조선시대 한글로 쓰여진 음식조리서가있었기 때문이었다. 1809년 빙허각 이씨의 한글로 씌여진 『규합총서』와 이 책을 간단하게 정리한『부인필지』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방신영은 이 책을 참고로 삼아 어머니의 구술을 통해 『조선요리제법』을 탄생시켰다. 이렇게 여성지식이 계승될 수 있었던 것은 한글로 작성되었기 때문이었다. 『조선요리제법』은 1917년부터 1943년까지 총 12쇄를 찍었으며, 최소 24,000부 정도가 팔렸다. 이 책이 이 정도로 많이 팔렸다는 것은 상업적 유통을 통해 여성지식이 확대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여성들의 살림 지식은 근대에 이르러 상업적 유통망 구축과 고객에게 다가가는 적극적인 영업전략을 통해 널리 확산되었다. 조선시대 이후 계승되고 확산된 여성지식의 사례에 해당하는 『조선요리제법』은 Korea Recipes 로 미국에서 출간됨으로써 여성지식의 국제교류를 이루게 되었다. 빙허각 이씨의 『규합총서』에서시작된 조선요리책이 방신영에 의해 근대적 표준화를 마련하였고, 이 책은 해리엇 모리스에 의해 서구에 보급되었다. 이 사례는 한국 여성지식의 계승과 국제교류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잘 보여준다. 조선시대 이후 근대에 이르기까지 계승된 여성지식의 국제교류가 가능할 수 있었던 것은 19 세기말 이후 구축된 국제기독교 관계망과 관련있었다. 이러한 관계망은 19세기말 이후 내한했던 선교사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내한선교사들이 구축한 국제기독교 관계망을 통해 서구의 근대문화가한국사회에 직접적으로 도입되었다. 동시에 한글을 통해 계승되었던 여성지식이 이러한 관계망을통해 국제교류가 가능했던 것이다. 해리엇은 이 관계망을 통해 Korean Recipes 를 출간하고 판매하였다.

목차

I. 머리말
II. 여성지식의 계승과 『조선요리제법』
III. 『조선요리제법』과 상업적 유통을 통한 여성지식의 확산
IV. Korean Recipes와 여성지식의 국제교류
V.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윤정란 Youn, Jung Ran.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