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청말 儒醫 曾懿의 젠더의학과 ‘여성’ 재구성 - 古歡室醫書 三種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Doctor ZengYi’s Gender Medicine and the Reconstruction of ‘Women’ in the late Qing Dynasty - Focusing on three kinds of Guhuanshi medical books -

청말 유의 증의의 젠더의학과 ‘여성’ 재구성 - 고환실의서 삼종을 중심으로 -

정유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Zeng-Yi(1852-1927) was a female monk who was active in the late Qing Dynasty and early Republic; she was born into a noble family, learned scriptures and librarians, and excelled in poetry and calligraphy. She suffered from diseases from a young age due to her weak body, and her ailments and the infectious diseases that afflicted her induced a natural curiosity in medicine. Ultimately, she taught herself to read medical records ranging from ancient to contemporary, learned folk remedies, and administered medication to people around her to treat illnesses. Based on these studies and clinical experience, she wrote and published “three kinds of Guhuanshi medical books,” consecutively. Zeng-Yi was born and active during a time when there was a strong movement to revive the Qing Dynasty, which was heading toward ruin throughout China owing to it entering a rapid decline due to the invasion of foreign powers after the Opium War. This social movement is to understand that the core of the background of becoming a world power is ‘modernization’ and to create a modernized rich and strong nation through enlightenment and reform. Accordingly, the signs that symbolize the modern times identified by women's significance were ‘women’ and ‘medical(medication)’. This was not just gendered medicine to treat women's bodies, but a practical way for a woman who contributes to the wealth and strength of Qing Dynasty to transform it, breaking away from the stereotypical perception and role of women, which is one of the reasons for entering the country based on female gender medicine and medical discourse. The intention was to expand the existing field of women's medicine from the treatment of disease or injury to health and prevention, and to provide indicators for modern women, in women's private and public areas. These two signs of evidence were message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women's self-awareness and practical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f women's self-awareness, not women's self-awareness stemming from Western modern women's education. Through the three types of evidence, we examined the aspects of the women's movement,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women's movement that excludes existing women, and the women's movement, which is pointed out as lacking concrete practical presentation.

한국어

曾懿(1852-1927)는 청나라 말에서 민국 초기에 활동했던 여성 儒醫으로, 사대부 가문에서 태어나 경전과 사서를 익혔으며 시서화에 뛰어났다. 그는 어려서부터 몸이 약해 늘 질병에 시달렸고 전염병도 여러 차례 겪으며 자연스럽게 의술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결국 본인이 직접 독학으로 고대부터 당시까지의 의학 전적들을 두루 탐독하고 민간요법들도 익혀 자신의 병 치료는 물론 주위 사람들에게도 의술을 베풀었다. 그녀는 이러한 연구와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흔히 ‘古歡室醫書 三種’이라고 불리는 『醫學篇』, 『女學篇』, 『中饋錄』을 차례로 저술하고 출판했다. 증의가 태어나 활동하던 청말민초는 청나라가 아편전쟁 패배 이후 외세 열강의 침입으로 급속히 쇠락 국면에 들어서면서 중국 전역에서 망국으로 치닫는 조국 청나라를 다시 일으키기 위한 거센 움직임이 있을 시기였다. 이러한 사회 움직임은 세계열강이 된 배경의 핵심이 ‘근대화’임을 파악하고 계몽과 개혁을 통해 근대화된 부국강병한 국가를 만들기 위함이다. 이에 여성 유의 증의가 파악했던 근대를 상징하는 언표는 바로 ‘여성’과 ‘의학(의술)’이었다. 이는 증의에게 있어 단순히 여성의 몸을 치료하는 성별 의술만이 아니었다. 이는 여성 성별 의술과 여성 젠더적 의학 담론을 바탕으로 청을 망국의 길로 접어들게 했던 원인 중 하나인 기존 전통적인 여성에 대한 인식과 역할에서 탈피해 청의 부국강병에 일조하는 여성으로 개조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의 제시였다. 바로 증의는 기존의 여성 의학 영역을 질병이나 상해의 치료에서 보건과 예방까지 확장하고 여성의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을 모두 포함한 근대 여성으로서 지향해야 할 지표를 제시하고자 했다. 증의의 이 두 언표는 사회 참여와 소통의 메시지였던 것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전통적인 사회환경에서 교육을 받은 증의가 여성 유의로서 서구 근대 여성 교육에서 출발한 여성 주체 의식이 아닌 증의 개인 자체적으로 자각하고 생성한 여성 주체 의식과 실천적 사회 참여 활동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했다. 증의의 고환실의서 3종을 통해 기존의 여성을 배제한 여성운동과 담론 혹은 구체적인 실천적 제시가 미흡하다고 지적받는 여성운동과는 다른 청말 실천적 여성운동 양상을 고찰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실천적 의학 담론을 통한 사회 참여
Ⅲ. 젠더의학을 통한 ‘여성’ 재구성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유선 Jung, Yousun. 상명대학교 계당교양교육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