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선아라리의 지역원형 연구 - 정선 지역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Local Archetypes of Jeongseon Arari - Focusing on the Jeongseon Region -

박선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d on the varied “vocabulary” of the words of the Jeongseon Arari and Gangwondo folksong. We aimed to review the local cultural archetypes through the Jeongseon Arari song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Jeongseon region of Gangwondo based on existing documents containing the Jeongseon Arari, clarifying the residents’ smoking culture, shoes, related women’s culture, and local archetypes through the Japanese language in “the vocabulary” present in Jeongseon Arari. Furthermore, we gained awareness of the local culture as a spiritual world wishing for reunification by solidifying the convictions of democracy by thwarting the communist invasion and anti-communist education when the nation was divided between South and North due to the Korean War. The study thereby illuminated aspects of Jeongseon residents’ local archetypes and culture in “the vocabulary” of the words of Jeongseon Arari.

한국어

이 연구는 강원도 민요인 정선아라리 사설의 다양한 ‘어휘’에 주목하고, 정선 지 역민이 부른 정선아라리를 대상으로 지역원형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 선아라리가 수록된 기존의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강원도 정선 지역의 문화적 특징 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정선아라리 사설에 나타난 ‘어휘’에서 당시 정선 지역민의 지역원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즉 담배와 관련된 흡연 문화, 구두와 관련된 여성 문화, 일본어 사용을 통한 언어 문화가 그것이다. 또한 6.25 전쟁으로 인해 남과 북 으로 분단되어 반공교육을 통하여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을 굳게 하고 공산주의 침 략을 격멸함으로써 통일을 염원하는 정신세계로서의 지역문화를 발견할 수 있었 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강원도 정선아라리 사설의 ‘어휘’에서 정선 지역민의 지역 원형과 지역문화의 일면(一面)을 조명한 점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정선아라리에 나타난 지역원형
Ⅲ. 정선아라리에 나타난 지역문화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선애 Park, Seon-ae.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