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소학제가집주(小學諸家集註)』의 저본(底本) 및 편찬방법에 관한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ference Texts and the Compilation Methods of the SohakJegajibju小學諸家集註 by Yulgok栗谷 Yi Yi李珥

김경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s the reference texts of the SohakJegajibju小學諸家集註 by Yulgok栗谷 Yi Yi李珥, who compiled the commentary on the Sohak小學(Xiaoxue) for the first time in Joseon, and its compilation methods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search so far, the SohakJegajibju has been compiled from the XiaoxueJijie小學集解 by Wu Ne吳訥, the XiaoxueJijieZhengwu小學集解正誤 by Chen Zuo陳祚, and the XiaoxueZengzhu小學增註 by Chen Xuan陳選, and the XiaoxueJishuol小學集說 by Cheng Yu程愈, including XiaoxueJicheng小學集成 by He Shih-xin何士信. However,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ohakJegajibju is basically based on Wang Ao王鏊's XiaoxueJijieDaquan小學集註大全. Although it’s system follows the six-volume system of XiaoxueJishuo, but in terms of content, all quotations from Jijie, Zhengwu, and XiaoxueZengzhu are all based on Wang Ao's XiaoxueJijieDaquan, and in the form of commentary also, it does not follow that of XiaoxueJishuo, which is in the form of ‘吳氏曰’, ‘陳氏曰’, etc., but follows the form of XiaoxueJijieDaquan, which signed the titles of the reference texts, such as Jijie, Zengzhu, Jicheng, JIshuo, Zhengwu, etc. These shows how much weight Wang Ao's XiaoxueJijieDaquan occupies in the compilation of the SohakJegajibju, and it can also be said to show that the XiaoxueJijieDaquan was already introduced into Jose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Yulgok Yi Yi minimized his self-report, and briefly annotated only 10 places, and if the content was the same, he preferred to select the commentary with the commenter's name, such as ‘吳氏曰’ or ‘陳氏曰’. This means that he focused on accepting the commentaries of the scholars rather than presenting his own views, and on the one hand, it is due to the nature of ‘Sohak(Xiaoxue)’, which is a practical book rather than an academic book, and on the other hand it shows that he maintained the position of the editor who said to convey the previous opinions faithfully about the target text.

한국어

이 글은 조선 최초로 『소학』주석서를 집대성한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소학제가집주(小學諸家集註)』의 저본과 그 편찬 방법과 특징을 살피는 것이다. 그간의 연구 성과를 보면, 『소학제가집주』는 하사신(何士信)의 『소학집성(小學集成)』을 비롯하여, 오눌(吳訥)의 『소학집해(小學集解)』, 진조(陳祚)의 『소학집해정오(小學集解正誤)』, 진선(陳選)의 『소학증주(小學增註)』, 정유(程愈)의 『소학집설(小學集說)』을 바탕으로 편찬하였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하여 『소학제가집주』가 기본적으로 왕오의 『소학집주대전』을 저본으로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즉 그것의 체제는 『소학집설』의 6권 체제를 따르지만, 내용 면에 있어서는 [집해], [정오], [증주]의 인용 내용이 모두 왕오의 『소학집주대전』에 근거한 것이며, 그 형식에 있어서도 ‘吳氏曰’, ‘陳氏曰’ 등의 형태인 『소학집설』의 주석 형식이 아닌, ‘[집해]’, ‘[증주]’, ‘[집성]’, ‘[집설]’, ‘[정오]’와 같이 서명을 기록하여 『소학집주대전』의 형식을 따르고 있었다. 이것은 『소학제가집주』의 편찬에 왕오의 『소학집주대전』이 얼마나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것이며, 조선에 『소학집주대전』이 유입되어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근거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율곡 이이가 자신의 자주(自註)는 최소화하여 10곳에만 간략하게 주를 달았고, 내용이 동일한 주석일 경우 ‘吳氏曰’, ‘陳氏曰’ 등과 같이 주석자의 이름이 기재된 주석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그가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선유들의 주석을 수용하는 데 주력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편으로 학술서라기보다는 실용서라고 하는 『소학』의 성격에 기인하는 것인 동시에 이전의 견해를 충실하고 객관적으로 전한다고 하는 편찬자의 입장을 그가 견지하였음을 보여준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소학제가집주』 편찬 당시 조선의 소학주석서 현황
3.『소학제가집주』편찬시 저본
4.『소학제가집주』편찬방법 및 특징
5.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경남 KIM Kyung-nam. 고려대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