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성철의 삶과 범어사

원문정보

The Life of Seongcheol and the History of Beomeosa Temple

김광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view is an article that summarizes the history of Beomeosa Temple by Seongcheol, who is famous as a high priest of the modern era of Korea. Various studies on Seongcheol have been conducted so far, and it is imprinted that Seongcheol is from Haeinsa Temple. In other words, he was a monk at Haeinsa Temple, a head of Haein Chongrim Bangjang, Ipjeok, the construction of a monument, Mundo Headquarters(Baekryeonam temple), and a memorial service. However, in my opinion, Seongcheol's life has many connections with Beomeosa Temple. Therefore, I would like to reveal the cross-section related to Beomeosa Temple in this article. Through such a cross-section, I would like to shed new light on Seongcheol's life. He is summarized by content as follows. First, Seongcheol's gift is a movable property. Since Dongsan is a monk representing Beomeosa Temple in the modern era, Seongcheol is clearly related to Beomeosa Temple. Second, the vein of Seongcheol was the vein that led to Baekyong-Hadongsan-Seongcheol. It was noted that Seongcheol also recognized this legal vein. Third, Seongcheol's relationship with Beomeosa Temple can be mentioned, such as the suggestion of the ritual house of Beomeosa Temple in Dongsan, the review of moving into Wonhyoam Hermitage, the refusal of Hyanggokmundo Island, and the worship of the Dongsan monument just before the entry. Fourth, Seong-cheol acknowledged the spirit of purification of his benefactor, Dongsan. Therefore, Seongcheol promoted spiritual Buddhist purification, and positively evaluated the movement to purify the garden when writing the Dongsan inscription. We hope that the above will be a reference to Seongcheol's life, Dongsan Mundo, and modern Beomeosa Temple.

한국어

본 논문은 한국 현대기 고승으로 유명한 성철의 범어사 인연과 그 관련 내용을 고찰한 글이다. 지금껏 성철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졌지 만, 그 흐름에는 ‘성철은 해인사의 출신’이라는 점이 각인되어 있다. 즉 그 의 출가, 해인총림 방장 역임, 입적을 비롯해 그의 비석 건립과 문도 본부 (백련암), 추모 제사 등이 모두 해인사와 연관이 있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 에 성철의 삶에는 범어사에서의 연고나 인연도 많다. 그래서 이 글에서 범 어사와 관련된 단면을 들추어내고, 그 단면을 통해 성철의 삶을 새롭게 조 명하고자 한다. 이를 내용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철의 은사는 동산이라는 점이다. 동산은 현대기 범어사를 대표 하는 승려이기에 성철은 범어사와 연고가 분명하다. 둘째, 성철의 법맥은 용성→동산→성철로 이어진 맥이다. 이 법맥을 성 철도 인정하였음을 주목했다. 셋째, 성철의 범어사 인연은 동산의 범어사 조실 제안, 원효암 입주 검 토, 향곡문도 거부, 입적 직전 동산 비석의 참배 등을 거론할 수 있다. 넷째, 성철은 그의 은사인 동산의 정화 정신을 인정하였다. 그래서 성철 은 정신적인 불교정화를 추진했고, 동산 비문을 작성할 때 동산의 정화운 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상과 같은 내용이 성철의 삶, 동산문도, 현대기 범어사 등의 역사 탐 구에 참고가 되길 기대한다.

목차

한글요약
Ⅰ. 서언
Ⅱ. 성철의 입산 출가와 은사 동산
Ⅲ. 동산의 법맥 전수
1. 동산의 후계자 지정, 법맥 인식
2. 동산 입적, 동산법맥 전수 논란
Ⅳ. 동산의 정신 계승
Ⅴ.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광식 Kim, Gwang-sik. 동국대학교 특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