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research is mainly focused on figuring out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discourse of homosexuality by analyzing the type of media that was chosen for the reporting the homosexuality cases and looking into its effects on society and the pathologizing phenomenon of homosexuality by utilizing the published data including the articles in newspapers and magazines from Meiji era, when the homosexuality had started to be reported, to Showa period. The extension of female homosexuality is strongly connected to female students. In 1899, based on the increased number of female students along with the public policy that at least one female school had to be established in Prefectures of Japan after implementing the Higher Educational Decree, the increased number of female students and their girl culture, especially the close relationship among the students, became sensational, resulting in a social problem. Furthermore, in terms of the history of feminism, the modern woman’s independent behaviors and unprecedented moves emerged in Taisho period, including challenging patriarchy and masculism, were evaluated as the arbiters of women’s liberation. However, those movements, opposing the ideal women’s figure, good wife and wise mother, and disturbing the traditional heterosexist society with the demolition of fine custom, served as a momentum of stigmatizing as an anti-society factor. However, the media, newspapers in detail, played a crucial role in creating such a negative impression of homosexuality. Although there already had been articles regarding female mass suicide in the Meiji era, they haven’t been spotlighted remarkably. However, with the incident of the mass suicide of two female students in Niigata Prefecture in 1911, the number of articles and comments in newspapers related to ‘a female student’ and “massive female suicide” was increased. At that time, the press, was extremely afraid of the females’ identification to the “Cheongtop”, framed the image,
한국어
18세기까지 기독교 세계관에 바탕을 두고 동성애를 단죄했던 서양과는 달리 일본에 서는 에도시대까지 동성애에 관대했다. 동성애라는 개념도 존재하지 않았고 남성간의 성적인 관계는 ‘남색’만이 처벌의 대상이었다. 이에 반해 여성동성애에 관해서는 근대 이전에는 보고된 사례가 드물고 여성간의 관계를 지칭하는 어떤 용어도 없었다. 본고는 여성동성애가 보도되기 시작한 메이지시대부터 쇼와시대까지의 신문과 잡 지의 기사들을 통해 여성동성애 사건을 보도하는 미디어의 행태를 분석하고, 그것이 사회에 끼치는 영향, 그리고 동성애자가 병리화되어 가는 현상을 살펴봄으로써 동성애 담론의 역사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했다. 여성동성애의 확대는 여학생과 깊은 관계가 있는데, 1899년 고등교육령이 시행된 후 에 도도부현(都道府県)에 필수적으로 한 개교 이상은 설치해야 했던 여학교를 기반으 로 늘어난 여학생과 그들의 소녀문화, 특히 여학생들간의 친밀한 관계가 세간의 관심 거리가 되면서 사회문제화 되었다. 아울러 다이쇼기에 등장한 신여성의 자주적 행동, 파격적 행보 등은 페미니즘 역사에 있어서는 가부장제도와 남권주의 체제에 도전하고 이상적 여성상인 현모양처에 반기를 드는 여성해방운동의 주체자로 평가되는 반면, 미 풍양속을 해치고 전통적인 이성애주의 사회를 교란시키는 반사회분자로 낙인찍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런데 이렇게 여성동성애에 대한 부정적인 인상이 형성된 데에는 당시의 신문이라 는 미디어의 역할이 가장 컸다고 할 수 있다. 여성 동반자살에 관한 기사는 이미 메이 지시대부터 있었지만 크게 이슈화되지 않았는데, 1911년에 발생한 니이가타현의 두 여 학생의 동반자살을 계기로 ‘여학생’과 ‘여성 동반자살’에 대한 신문 기사 및 논평이 증가 일로, 이들 여학생들이 혹여나 청탑 동인화 되는 것을 극도로 두려워 한 언론이 <여성동성애자=정신병, 이상 심리, 타락, 일탈자>라는 프레임을 씌워 멸시와 혐오의 대상 으로 전락시키고 사람들의 저항심을 강하게 만들었다. 남성동성애에 관한 기사와 비교해 보면 편향성은 더욱 극명하게 드러나는데 그 배 경에는 가부장적 사회의 남녀 차별과 비이성애자 차별이라는 이중 차별과, 황국시민의 육성이라는 국가적 목표를 훼손하는 불순자들을 견제하고 감시하려는 메이지, 다이쇼 정부의 국가정책과 이에 따른 언론 통제, 그리고 이를 아젠다로 설정하여 집중화시킨 신문사의 프레임 전략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본어
本稿は女性同性愛が報道され始めた明治時代から昭和時代までの新聞や雑誌記事を 通して、女性同性愛を報道するメディアフレームを分析し、社会に及ぼす影響、そして 同性愛者が病理化されていく現象を検討、同性愛言説の歴史的意味を把握した。 女性同性愛の拡大には女学生が深くかかわっており、1899年高等教育令が施行された 後、都道府県に設立が義務付けられた女学校を基盤に増えつつあった女学生と彼女らの 少女文化、特に女学生同士の親密な関係が世間の注目を集め、社会問題化された。ま た、大正期に登場した新しい女の自主的行動、破格的な歩みなどは、フェミニズム史に おいては、家父長制と男権主義に挑戦し、理想的な女性像であった良妻賢母に抵抗する 女性解放運動の主体として評価される一方、淳風美俗を阻害し、伝統的な異性愛主義社 会を乱す者として警戒、批判された。 このように女性同性愛に対する否定的な言説が形成されたのには、当時の新聞という メディアの役割が最も大きかった。女性心中に関する記事は既に明治時代からあったが 問題化されず、1911年に起った新潟県の女学生心中をきっかけに、「女学生」と「同性心 中」に対する批評が増加した。その背景には、当時、話題になった「青鞜」メンバーを憧 れ、同化されることを極めて恐れた言論が「女性同性愛者=精神病、異常心理、堕落、 逸脱」というフレームをかぶせ、蔑視と嫌悪の対象に転落させ、人々の抵抗心を強くし た。 男性同性愛に関する記事と比べるとその偏向性はより明らかで、その背景には家父長 制下の男女差別と非異性愛者差別という二重差別と、皇国市民育成という国家的目標 を毀損する不純者を牽制して監視しようとする明治、大正政府の国家政策とそれに伴う 言論統制、そしてこれをアジェンダに設定して集中化させる新聞のフレーム戦略が積極 的に作用していることが分かる。
목차
Ⅰ. 머리말
Ⅱ. 혐오 생산의 메커니즘
1. 유입, 수용, 변용
2. 욕구에서 사랑으로
3. 보도 프레임의 행태
4. 혐오의 역사
5. 지배 담론과 전략
Ⅲ. 맺음말
<참고문헌>
要旨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