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植民地台湾謡曲界の研究 -1930年代と統合のための文化装置

원문정보

Research of Yokyoku Circles in Colonial Taiwan — Its 1930’s and Cultural Apparatus for Integration

식민지 대만 요쿄쿠계(謠曲界) 연구 - 1930년대와 통합을 위한 문화장치

徐禎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part of ‘A History of Noh’, this paper sets up the research of ‘A Colonial history of Noh’ by illuminating the development of Noh and Utai, and what Cultural Apparatus they functioned a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Reconstructing the circumstances behind the formation of Noh and Utai in the colonies is vital to determine how they should be interpreted as modern and art history. The research shed light on the establishment of Noh and Utai as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Canon’, which was to express the greatness of Japan as a nation-state from 1945 onwards by obliterating their history of mobiliz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and patriotic service to defend the national polity(=Emperor, Tenno) under the propaganda warfare ‘Japanese spirit/Nihon Seishin’ during the total war. The point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 arts of the empire’s transformation into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the newly founded nation-state subsequent to the dissolution of the empire. In Taiwan, a country which became a colony of the Japanese empire 15 years prior to Imperial Korea, the Yokyoku circles were already actively led by the Japanese intelligentsia before the suppression of Anti-Japanese movements in 1902. Their presence within the Japanese society at an early stage of colonialism in Taiwan is similar to the formation of the Yokyoku circles at Keijyo(Seoul) in 1905 among the Japanese bureaucrats, military officers and teachers who were sent to the Resident General of Korea. In the 1930s, Japanese expansionism reached its peak and East Asia was driven into an era of turbulence, fascism and war. While the repression of the Musha Rebellion in 1930 stabilized the colonization in Taiwan, an outbreak of the Second Sino-Japanese War had encouraged nation integration and Noh and Utai were mobilized as a Cultural Apparatus to inculcate ‘Japanese spirit/Nihon Seishin’ in students. Such development of Noh and Utai influenced the regular courses in high schools. The Tainan Girl’s Senior High School added Yokyoku to the subject called Shuyo in May 1938. A Japanese Tea ceremony was taught in the school building ‘House of Manners’ where the outsiders could also run circle activities such as Satsuki-Kai and Nanpo-kai. The utilization of schools is a unique example compared to other colonies where public halls were used for gatherings. The role of Noh and Utai in the 1930s went beyond drawing a line between the ruler and the ruled, the ‘true’ Japanese and the ‘institutional’ Japanese and functioned as a Cultural Apparatus to raise disciplined and competent subjects for the conduction of war missions from the colony.

한국어

이 논문은 能樂史의 일부로서 植民地能樂史 연구를 제창하는 필자가 제국일본의 식민지라 는 공간에서 노(能)와 우타이(謠)가 어떤 전개를 보였으며, 어떠한 문화장치로서 작동하였는가 를 밝혀내려는 연구의 일부분이다. 이 연구의 특성상, 식민지 공간에 형성된 노와 우타이에 관 한 당시 상황을 재구성하는 작업이 우선될 것이며, 이를 통해서 동아시아 근대사 또는 예술사 로서 어떻게 해석할 것이냐의 문제에 접근하게 된다. 그리고 이 연구는 최종적으로는 총력전 시기에는 ‘日本精神의 国粋’라는 선전전 아래에서 국체(國體=천황) 수호를 위한 국민통합과 보국(報国)에 동원되었던 노와 우타이가 1945년 이후에는 그러한 역사를 지워버리고 일본의 전통예능, 고전(Canon)으로서 일본이라는 국민국가의 위관(偉觀)을 표상(表象)하는 장치로 자리 잡은 현실에 주목할 것이다. 바로 ‘제국의 예술’이 제국 해체 후에 새로 건설된 국민국가의 ‘전통예술’로 변신한 과정에 대한 문제이다. 대한제국보다 15년 먼저 제국일본의 식민지가 된 대만에서는 항일운동이 진압된 1902년 이 전에 이미 우타이 모임을 중심으로 하는 요코쿠계(謠曲界) 활동이 시작되었으며, 주된 담당자 는 식민지 대만을 이끄는 일본인 지도자/지식인층이었다. 대만에 대한 일본의 식민지통치가 자 리 잡아가는 초기에 대만에 진출한 일본인 사회에서 요코쿠계 활동이 시작된 것인데, 이는 1905년 경성에 통감부가 설치되어 여기에 파견된 일본인 관료와 군인, 교사들 사이에서 요코 쿠계가 형성된 것과 유사하다. 그런데 1930년대가 되자 팽창주의로 치닫는 대일본제국은 동아 시아를 격동의 시대, 파쇼와 전쟁의 시대로 몰아넣었다. 대만에서는 무사사건(霧社事件)이 진 압되어 식민통치가 안정기를 맞이했으나, 중일전쟁 발발은 국민=신민 통합을 부추겼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노와 우타이의 장려는 ‘일본정신의 국수’를 확산하고 달성하기 위한 문화장치의 동원이었다. 1938년 5월에 타이난(臺南) 고등여학교 수양(修養) 과목에 요코쿠(우타이)가 설치 되어 있었다. 이 학교에서는 요쿄쿠 외에도 일본의 다도 등을 교내에 있는 ‘작법의 집(作法の 家)’이라는 건물에서 교육했는데, 이 건물에서 사쓰키카이(皐月会), 난포카이(南寶会) 등 교외 일반 성인들의 우타이 모임 활동도 전개되었다. 이는 여느 식민지에서 공회당(公會堂)에서 우 타이 모임이 열렸던 점을 보면, 학교 시설이 공공재로 사용된 예라 할 수 있다. 이처럼 1930년 대 제국의 노와 우타이는 지배자와 피지배자, 혈통적 일본인과 제도적 일본인 사이에 경계선을 긋는 기능을 넘어서 모범적인 식민지 출신 신민(臣民)을 양성하고 전쟁 수행을 위한 국민통합 의 문화장치로서 동원되기 시작했다.

일본어

この論文は能樂史の一部としての植民地能樂史研究を提唱している筆者が帝国日本の植民という 空間において能と謡が如何なる展開を見せ、如何なる文化装置として作動したのかを探求する研究 の一部である。この研究の特質上、植民地空間に形成された能と謡の実態を再構成する作業が優 先され、それによって東アジア近代史あるいは芸能史として如何に解釈するのかという問題にアプ ローチすることになる。さらに、この研究は最終的には総力戦の時期に宣伝戦の下で「日本精神の 国粋として国体(=天皇)を護持するための国民統合と報国に動員された能と謡が1945年以降に以前 の歴史を消し去り日本の伝統芸能、古典(Canon)として日本という国民国家の偉觀を表象する装置と して定着している現実に注目することになろう。いわゆる「帝国の芸術」が帝国解体後に新たに建 設された国民国家の「伝統芸能」として変身した過程の問題である。 大韓帝国より15年早く帝国日本の植民地となった台湾では抗日運動が鎮圧された1902年以前に 謠曲界の活動が始まっており、主だった担当者は植民地台湾を主導する日本人指導者ㆍ知識人総 であった。台湾における日本の植民地統治が始まる初期に台湾に進出した日本人社会で謡会が胎 動したのであるが、これは1905年に京城に統監府が設置されてここに派遣された日本人官吏や軍人 あるいは教師などによって謡曲界が形成されたのと似ている。 ところで、1930年代になると膨張主義に走る大日本帝国は東アジアを激動の時代、ファシズムの 時代、戦争の時代への追い遣った。台湾では霧社事件が鎮圧され植民統治が安定期を迎えたが、 日中戦争の勃発は国民=臣民の統合を促し、学生を対象とする能や謡の奨励は「日本精神の国 粋」を拡散し達成するための文化装置との動員であった。1938年5月に臺南高等女学校の修養科目 に謡曲が設置されていた。この女学校では謡曲以外にも日本の茶道などを構内の「作法の家)」な る建物のなかで教育したが、ここには皐月会や南寶会などの学外の一般j人の謡会も催されている。 どの植民地でも公會堂にて謡会が催されていたことを考えると、学校施設が公共財として使われたの であろう。このように、1930年代の帝国の能と謡は支配者と被支配者、決闘的日本人と制度的日本 人の間に境界線を引く機能を越えて、模範的植民地出身の臣民を養成し、戦争遂行のための国民 統合の装置として動員されることになる。

목차

1. はじめに
2. 大日本帝国: 能と権力の力学
3. 台南第二高等女学校の「作法の家」
4. むすびにかえて
5. 補遺
reference
abstract
abstract
abstract

저자정보

  • 徐禎完 서정완. 翰林大學校 日本學科 敎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