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tud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Focusing on Commercial High Schools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cognition and curriculum for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and non-research school students in commercial high schools.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in this study are schools that have been operated by apply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ver a three-year operating period, and non-research schools include schools other than research schools designated as leading high school credit system school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ubject of study among commercial high schools in their third year of conducting the school credit system,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awareness of the credit system compared to the opposite group. Secondly, as a result of the satisfaction analysis about the curriculum, it was observed the subject schoo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overall than the other group, particularly on the detailed items related to employ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udents, the school credit system seems to be satisfactory as they choose the curriculum and decide their career path on their own, and this result is expected to positively contribute to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through increased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were derived from conducting a direct survey of students who actually experience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re expected to play pivotal role as a pioneer and helps predicting the effectiveness and success.
한국어
본 연구는 상업계열 고등학교의 직업계고 학점제 연구학교와 비연구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고교 학점제 인식 및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고교학점제 연구 학교는 3년의 운영기간을 통해 고교학점제를 적용하여 운영한 학교이며, 비연구학교는 연구학교 이 외의 학교로 고교학점제 선도학교로 지정된 학교를 포함한다. 연구학교는 모두 특성화고등학교이며, 비연구학교에는 특성화고등학교와 종합고등학교 형태의 학교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3년차인 상업계고등학교는 비연구학교에 비해 고교학점제에 대한 전 반적인 인식 수준에 있어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학점제 시행 연차가 늘어날수록 학생들의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으며 고교학점제의 목표와 효과 등에 대해 서서히 보다 많이 인지해 가고 있는 과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연구학교가 비연구학교에 비해 전반적으로 유의하게 높 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특히 취업과 관련된 세부항목에 그 차이가 뚜렷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교육 의 주된 당사자인 학생의 관점에서 볼 때 교육과정을 학생 본인이 직접 선택하고 자신의 진로를 자 율적으로 결정한다는 측면에서 고교학점제는 학생 본인에게 만족도가 큰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결 과는 학생들의 학교 교육에 대한 참여도를 높여 공교육 정상화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판단 된다. 고교학점제를 실제로 경험한 학생들에 대한 직접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도출한 본 연구의 결과는 2022년 시행되는 직업계고 학점제와 2025년 전체고등학교에서 시행될 고교학점제의 실효성 및 성공 가능성을 미리 짐작하고 그 방향성을 예측해 보는 데 있어서 좋은 나침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Ⅰ. 서론
Ⅱ. 고교학점제의 제도적 배경
1. 고교학점제의 의의
2. 고교학점제의 학사제도
3. 고교학점제의 유형
4. 고교학점제의 체계
Ⅲ. 선행연구
1. 고교학점제 운영 방안 연구
2. 고교학점제 도입 인식에 대한 연구
3. 선행연구의 의의 및 가설설정
Ⅳ. 연구의 설계와 분석방법
1. 연구설계
2. 설문조사 대상
3. 설문내용
4. 분석방법
Ⅴ. 연구결과
1. 표본의 일반적 사항 및 예비특성
2.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
3.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연구학교와 비연구학교의 비교)
4. 교육과정 만족도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김소영, “빅 데이터를 통한 고교학점제의 대중인식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제33권 1호, 2021, pp.179-203.
- 2김인엽·홍섭근·최문경·권하늬, “고교학점제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의 인식 차이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연구」, 제19권 16호, 2019, pp.1003-1024.
- 3김홍겸, 오현정,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고교학점제 운영의 개선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제19권 22호, 2019, pp.111-139.
- 4박균열, 주영효,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도입을 위한 선행 과제 탐색”, 「한국교육정치학회」, 제28권 4호, 2021, pp.29-57.
- 5송낙현, “직업계고등학교 건설교과 저경력 교사의 고교학점제 개념 및 운영에 대한 인식”, 「한국기술교육학회」, 제21권 1호, 2021, pp.125-141.
- 6안희진, “특성화고등학교 연구학교 운영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 7우옥희, “고교학점제를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기준 개발”, 「박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9.
- 8우원재, “직업계고등학교 고교학점제 도입에 관한 교과 담당 교사의 인식조사”, 「대한공업교육학회」, 제44권 2호, 2019, pp.65-85.
- 9우원재, “직업계고등학교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선결조건, 외적환경개선, 운영방식, 직업계고등학교 특성및 성공적 도입 변인들 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제19권 17호, 2019, pp.713-732.
- 10윤소희, “직업계고등학교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육 수요자 인식 조사”,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제13권2호, 2021, pp.271-281.
- 11윤옥한, “고교학점제도 문제점 해결을 위한 운영 방향 탐색”, 「한국콘텐츠학회」, 제21권 8호, 2021, pp.236-246.
- 12이광우, “고교학점제 실행에 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제18권 12호, 2018, pp.543-567.
- 13이재덕, 김도기, 박태양, 이길재,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필요 교원수 추산 연구”, 「학국교육행정학회」, 제39권 3호, 2021, pp.325-345.
- 14이정화, “고교학점제 도입에 관한 직업계고 교사의 인식 분석 : 경기도 상업계고등학 교 교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 15이주연, 우라미, “고교학점제에 따른 학교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학생 참여의 양상 및 쟁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24권 4호, 2021, pp.59-83.
- 16한주희, 김종욱, 김진수, “직업계고 기계ㆍ금속 교사의 학점제 도입에 대한 인식”,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제5권 2호, 2021, pp.97-110.
- 17허주, 김갑성, 최수진, 이승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원수급 관련 쟁점 : 학생의 교과목 수요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제20권 8호, 2020, pp.651-672.
- 18홍후조, “고교학점제 도입의 문제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1호, 2018, pp.699-724.
- 19교육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안내서”,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