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대 제주불교와 봉려관 연구 - 일제강점기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Modern Jeju Buddhism and Bongnyeogwan - Focused on Media Repor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이성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eju Buddhism suffered extreme hardship due to the oppression of governor Lee Hyeong-sang(李衡祥)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is situation, the Bhikkuni Bongnyeogwan(蓬廬觀) restored Beobjeongsa Temple and Gwaneumsa Temple while building them. Bongnyeogwan contributed to the revitalization and socialization of Jeju Buddhism by conducting active tactic activities and establishing close relationships with residents. In the early 20th century, Jeju people overcame the low awareness of Buddhism and expanded the teaching of modern Jeju Buddhism. This was not an easy task considering the reality of the early 20th century, when male-centered thinking prevailed. Along with propagating Buddhism, he was also active in social relief activities. He participated as an executive member of the Jeju Hunger Relief Association and conducted social projects to save neighbors in need, such as shrinking the Dongsucheon Well. The Buddhist teachings did not stay within the denomination, but they practiced mercy to benefit the world. The Jeju Buddhist Association, in which modern Jeju Buddhists participated, implicitly promoted national consciousness and supported social activities such as women’s movement. Bongnyeogwan and Jeju local monks and believers worked hard to instill dreams and hopes in local youth by establishing secondary schools followed by kindergartens. The infallible uprising of Beobjeongsa Temple, founded by Bongryeogwan, has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as an independence movement that rose before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In this way, based on the mission and driving power of Bongnyeogwan and Jeju Buddhists during the colonial era, they tried to revive Jeju Buddhism and fulfill its role in the great society. This fact can be confirmed through media such as Dong-A Ilbo, Chosun Ilbo, and Maeil Shinb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life and teachings of Bongryeogwan, who laid the foundation for Jeju Buddhism as a chaplain and contributed to the modernization of Jeju society, should be properly recorded and evaluated.

한국어

제주불교는 조선 후기 이형상(李衡祥) 목사의 탄압으로 극심한 고초를 겪었다. 이런 상황에서 비구니 봉려관(蓬廬觀)은 법정사와 관음사 등을 창 건하면서 제주불교를 복원했다. 봉려관은 활발한 전법 활동을 전개하고 주 민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제주불교 재흥(再興)과 사회화에 기여했다. 20 세기 초 제주인들의 불교 인식이 높지 않은 상황을 극복하며 근대 제주불 교의 교세를 확장했다. 남성 중심 사고가 팽배해 있었던 20세기 초 현실을 고려할 때 쉽지 않은 일이었다. 불교 포교와 더불어 사회구호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제주기근구 제회 집행위원으로 참여하고, 동수천을 수축하는 등 어려운 이웃을 돕는 사회사업을 전개했다. 불교 가르침을 교단 내에만 머물지 않고, 세상 사람 들에게 이익을 주기 위해 자비행을 실천했다. 근대 제주불교인들이 참여한 제주불교협회는 은연중에 민족의식을 고취 하고 여성운동 등 사회활동을 지원하는 활동을 펼쳤다. 봉려관, 제주지역 승려, 신도들은 유치원에 이어 중등학교 교육기관을 설립해 지역 청소년들 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기 위해 노력했다. 봉려관이 창건한 법정사의 무 오항쟁은 1919년 3·1운동보다 앞서 궐기한 독립운동으로 역사적 의미가 크다. 이처럼 일제강점기 봉려관은 제주불교인들과 제주불교를 중흥하고 대사 회적 역할을 이행하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사실은 일제강점기 『동아일보』, 『조선일보』, 『매일신보』등 언론을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구한 말과 일제강점기 숱한 고초를 겪으면서 출가수행자로 제주불교의 초석을 놓고 제주사회의 근대화에 기여한 봉려관의 생애와 가르침이 바르게 기록 되고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목차

한글요약
Ⅰ. 서론
Ⅱ. 1910년대 제주불교 재건
Ⅲ. 1920년대 제주불교협회 설립과 활동
Ⅳ. 1930년대 제주불교계의 교육사업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성수 Lee, Sung-soo. 불교신문 기자. 동국대 국문과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