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제강점기 불교회화 인식과 우현 고유섭

원문정보

Recognition of Buddhist painting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Woo-hyun Go Yoo Seob

최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first and only aesthetics and art history major at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oo-hyun Go Yoo Seob had already decided to study Buddhist art history during his college years and had been steadily striving toward that goal ever since graduation. It is very meaningful that his first paper published after his undergraduate studies was “A Study on the Gilt Bronze Maitreya”, a Buddha statue represent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Since then, he studied with interest in various fields such as architecture, painting, and crafts but he achieved particularly remarkable results in his study of Buddhist pagodas.『The Study on the Joseon Pagodas』remains an important work until this day, outlining the various pagodas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by era, deriving the style and formativeness of each era, and discussing those in a historical context. Furthermore, even after Go Yoo Seob had been appointed director of the Kaesong City Museum, he spent a long time thoroughly exploring ancient literature to fill the gaps in Korean art history, where few relics have been preserved. Based on this, he gradually restored the history of art in each field. He constantly tried to find a methodology for studying Korean art history with a critical awareness about Joseon art history written by foreigners. Before modern times, Buddhist cultural properties were created and recognized as objects of worship or for religious splendor. However, as they began to be re-considered as works of "art" in the modern era, Buddhist artworks such as Buddha statues were exhibited in museums and art galleries, and they were also subject to appreciation, collection, or sale. Go Yoo Seob particularly devoted himself to this field of Buddhist art, seeking a distinct methodology for Joseon's art history and trying to deriv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Joseon art, rather than simply adopting Western methodologies for his new field of study. It is very significant that he thoroughly explored Korea’s old literature, examined and restored Buddhist artworks that were mentioned only in fragments in a historical context, and emphasized their import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한국어

우현 고유섭은 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 최초이며 유일한 미학·미술사 전공생으로서 대학시절 이미 불교미술사의 연구를 결심하였고, 졸업 이후 꾸준히 그 목표를 향해 정진하였다. 그가 학부 졸업 후 쓴 첫 논문이 삼국시대를 대표하는 불상을 주제로 한 「금동미륵반가상의 고찰」이라는점은 매우 의미 깊다. 이후 그는 건축, 회화, 공예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였고, 특히 불교 탑파의 연구에 있어서는 기념비적 성과를 남겼다. 전국에 산재한 탑들을 시대별로 개관하고 시대별 양식과 조형성을 도출하여 史的 맥락에서 논의한 『조선탑파의 연구』는 현재에도 중요한저술이다. 또한 고유섭은 개성 박물관장으로 부임하고 나서도 연구를 위해 꼼꼼한 현장 답사는 물론이고 현전하는 유물이 적은 우리 미술사의 공백을 채우기 위해 오랜 시간 동안 철저하게 고문헌들을탐독하여 이에 근거하여 차근차근 각 분야의 미술사를 복원해나갔다. 그는 외국인들이 쓴 조선미술사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우리 미술사를 연구하기 위한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끊임없이 시도하였다. 고유섭의 연구 중 불교회화 분야는 매우 희소하다. 단독으로 불교회화를 주제로 한 글은 조선후기의 선묘불화인 「거조암 불탱」이 유일하다. 그러나 그가 고려시대의 회화 흔적을 논한 글인 「고려 화적에 대하여」에서 종교화를 따로 언급하며 당시로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고 실물도 영세한 고려불화에 대해 중요한 문헌자료들을 소개하며 나름의 개관을 하고자 하였고 이는 역시 지금도 유효하고 귀중한 내용이다. 현전하는 유물들만을 중심으로 서술한 외국인이 쓴 조선미술사와 달리, 고유섭은 문헌 기록들을 통해 고려 불교회화의 미술사적 복원을 시도한 것이다. 물론 당시 그의불교회화를 다룬 글은 일제강점기라는 당시의 시대 상황과 역사관점의 영향이 엿보이기도 한다. 근대 이전에는 불교문화재들이 예배대상으로, 혹은 종교적 장엄을 위한 것으로 제작되고 인식되었지만, 근대기로 들어서면서 새롭게 ‘미술’의 영역으로 재인식되기 시작하면서 박물관·미술관에서 불상 등 불교미술품이 전시되기도 하였고, 감상의 대상이 되거나 수집과 매매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고유섭은 특히 이러한 불교미술 분야에 매진하며 신생 학문의 서구적 방법론에만 매몰되지 않고 조선의 미술사를 위한 방법론을 모색하였고 조선미술의 특징을 도출하려 하였다. 그가우리 옛 문헌 자료들을 철저히 탐독하여 단편적으로만 언급되었던 불교미술품들을 역사적 맥락하에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복원하고, 한국미술사에 있어서 그 중요성을 부각시킨 점은 큰 의미가있다.

목차

I. 머리말
II. 일제강점기의 불교회화 인식
III. 고유섭과 불교미술
IV. 고유섭의 불교회화 인식과 연구
V.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엽 CHOI, YEOB. 동국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