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Good Quality Job Factors on Innovation Behavior of Employee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Work・Growth Balance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quality job factors on innovation behavior by using work-growth balance as a mediator for workers. Sub-variables of quality job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job characteristics, compens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collected 285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PSS v22.0 and PROCESS macro v4.0 were used to analyze the model based on the simple mediation model. First,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work-growth balance was significant but the effect of compensation was not significant. Job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on work-growth balance. Second, the effect of work-growth balance on innovation behavior was significant. Third, job characteristics, compens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the greatest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and compensation had the smallest effect. Fourth, the work-growth balance was found to mediate between job characteristic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innovation behavior, but not between compensation and innovation behavior. As a follow-up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find other variables that can explain innovation behavior, second, it is necessary to follow-up studies such as finding new mediators other than work-growth balance. Third, it is expected that the follow-up study for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analysis through the conditional process model in which the moderating variable is introducedwill bemeaningful.
한국어
본 연구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양질의 일자리 요인이 일·성장 균형을 매개변수로 하여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양질의 일자리 요인의 하위변수를 직무특성, 보상 및 대인관계로 구분하였다. 자료분석에는 설문조사로 수집된 285부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을 수행하 기 위하여 SPSS v22.0과 PROCESSmacro v4.0을 통하여 단순매개모형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로 첫째, 직무특성, 대인관계가 일· 성장 균형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이나 보상이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특성이 일·성장 균형에 더 많은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일·성장 균형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특성, 보상 및 대인관계는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대인관계, 직무특성, 보상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일·성장 균형은 양질의 일자리 요인 으로 직무특성, 대인관계와 혁신행동 간에서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보상과 혁신행동 간에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 하여 근로자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는 양질의 일자리 요인의 체계적 연구와 함께 일과 삶의 균형(WLB)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후속 연구 로는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양질의 일자리 요인의 추가적 구성요소 발굴과 조절변수가 도입된 조건부과정 모형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양질의 일자리 요인
2. 일·성장 균형
3. 혁신행동
4. 변인 간 관계
5. 연구가설 및 모형
III. 연구 방법론
1. 자료의 수집 및 특성
2. 변수의 정의 및 측정
3. 분석방법
4.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IV. 분석결과
1. 상관관계 분석
2. 가설의 검정
V. 결론
1. 연구결과 요약
2. 시사점
3. 한계점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강민수 (2022), “고졸 청년 취업자의 일자리 질 영향요인 분석 : 직업계고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권윤정 (2021), “스마트워크에 대한 인식이 일과 삶의 균형(WLB)에 미치는 영향 : 직무자율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3김근호 (2020), “일자리 질에 따라 일의 의미가 일몰입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년친화강소기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4김명옥 (2015), “스마트워크 환경이 비서직종사자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관심사와 일-생활 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20(2), 37-71.
- 5김미연 (2021), “스마트워크, 잡크래프팅, 워라밸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혁신행동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지식공유행동의 조절효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6김미정 (2016), “기업구성원의 일-생활의 균형이 사회적지지, 정서적 몰입,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환대산업을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7김수지, 김병직 (2021), “고용 불안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일의 의미의 매개 효과와 조직 공정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경영컨설팅연구, 21(2), 83-95.
- 8김일천, 이지우, 김종우 (2004), “혁신적 업무행동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 19(2), 281-316.
- 9김정운, 박정열 (2008),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여가학연구, 5(3), 53-69.
- 10김진숙, 윤재한, 주윤황 (2019), “워라벨(Work-Life Balance)이 동기, 직무만족,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창조와 혁신, 12(2), 2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