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각된 부모의 과잉간섭과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과의 관계에서 인 지적 유연성의 역할

원문정보

The Role of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Intrusiveness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윤줄리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est mediation effects of cognitive flex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intrusivenes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In this study, 637 high school students (286 boys, 351 girls) were surveyed with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Parental Intrusiveness Scale pulled by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developed by Huh, Myo Yeon, Anger expression scale by Spielberger, Kranser & Solomon (1988),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 by Hong, Suk Ji(2005), and Cognitive Flexibility by Dennis & Vender Wal(2010). For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each variabl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find the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between parental intrusiveness and anger expression.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intrusiveness, cognitive flexibility and anger express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parental intrusiveness, the lower the child cognitive flexibility, the higher the cognitive flexibility, the lower the ‘anger in’ and ‘anger out,’ and the higher the parental intrusiveness, the higher the ‘anger in’ and ‘anger out'. Secondly, the research indicates that cognitive flexibility h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parental intrusiveness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is result shows that parental intrusiveness is an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dysfunctional expression. Additionally, it was verified that cognitive flexibility was a factor that played a role of having an influence between parental intrusiveness and dysfunctinal expression. Therefore, it illustrates that balanced and appropriate parental behavior is needed to foster cognitive flexibility, and that cognitive factor has an impact in decreasing dysfunctional expression.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의 과잉간섭이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과잉간섭이 인지적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부모의 과잉간섭과 인지적 유연성이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하위요인인 분노표출과 분노억제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검증을 위하여 총 650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Spielberger, Kranser와 Solomon(1988)의 분노표현 척도와 허묘연의 양육태도척도, Dennis와 Vander(2010), 홍숙지(2005)의 인지적 유연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637부가 통계처리 되었다. 각 변인의 상관관계를 위해서는 Pearson 적률 상관 분석을 하였고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 방법론에 의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부모의 과잉간섭은 인지적 유연성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인지적 유연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지각된 부모의 과잉간섭은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와의 관계에서 각각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부모 과잉간섭이 분노 표출과 분노억제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이 매개하는지 살펴본 결과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부모의 과잉간섭이 자녀의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을 예측하는 중요 변인이며, 그 사이에 인지적 유연성이 개입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것은 역기능적인 분노 표현을 막기 위해서 인지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분노
2. 부모의 양육 태도
3. 부모의 과잉간섭과 분노표현 방식
4. 인지적 유연성
5. 인지적 유연성과 분노 표현방식과의 관계
6. 부모의 과잉간섭과 인지적 유연성
Ⅲ. 연구문제
1. 연구문제
Ⅳ.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절차
2. 측정 도구
3. 자료 분석
Ⅴ. 연구결과
1. 부모의 과잉간섭과 분노 표현 방식 및 인지적 유연성과의 상관관계
2. 부모의 과잉간섭과 분노 표현방식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r
Ⅵ. 결론 및 제안
참고 문헌

저자정보

  • 윤줄리아영 Julia Young, Yoon. 라이트인유 심리상담센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