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강릉단오굿의 전통성 보존과 창조적 계승

원문정보

Preservation of tradition and creative succession of Gangneung Danogut

김운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tangible heritage is variable, and variable attributes appear fluidly depending on the transmission group, the transmission environment,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and the thoughts of the inheritor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consid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ervation Society is the tradition, bu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dition, when variations are occurring due to the variable nature, the selection of the inheritors is very important.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cases performed for traditional preservation and creative succession in the Gangneung Danogut tra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ose who perform and transmit the Gangneung Danogut, and to look into the changes. First, looking at the changes in conservation aspect, Gangneung Dano-gut was performed thoroughly under the leadership of hereditary dance until 2000, but there were signs of change when the learning dance appeared in 1999. Since then, as many of the members of the educational system through institutional education have joined and acted as preservation members, the members of the transmission group have more learning activities than hereditary ones. This change in the transmission group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Gangneung Danoje Preservation Association in 2007, which led to the establishment of an institutional system and a change in the learning system. In addition to the hands-on training, in addition to the workshops for the members of the Dano Festival Preservation Club (the martial arts club, the ritual club, and the Gwanno Mask Theater Club), experts from various fields were invited through workshops for each division to operate a program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the practitioners. Also, the performance pattern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and circumstances. Even in the 2000s, it was the time when the application for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was applied in 2007, so a prayer gut was performed to host the Winter Olympics. Currently, it has been extended and performed with the meaning of preventing new diseases. There were also changes in time and space of Danogut. Before 2008, the Gangneung Dano Festival was held for five days, starting with the Youngshin Festival to welcome the gods on May 3, and the Sending Festival to send the gods on the 7th as the standard of the festival schedule. Dano-gut was also performed for five days as a carriage. However, after Gangneung Dano Festival was registered as a masterpiece of the oral tradition and intangible heritage by UNESCO in 2005, the festival period from May 1 to 8 of the lunar calendar has been searched for a way for many citizens and visitors to participate in line with the global reputation of the festival since 2008. was enlarged. In line with this, the schedule of Dano-gut was also increased by one more day the following year, and the sending ceremony was extended on May 7th and performed on the 8th, and it continues to this day. In addition, an electric sign was installed on the altar to explain the performer of the ritual and the contents of the ritual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audience. Next, looking at cases for creative succession, various performances of the Gangneung Dano Festival were easily and funly delivered on one stage by making the stage for Dano-gut through content development. In addition, he founded and operated the Suri Art Troupe, a youth art troupe for various educational revitalization projects, and educated the general public by combining Danogut shamanic music with the Samulnori rhythm and at the same time providing Jitalgut education to help them understand the martial arts performed in Gut. In addition to raising the height, education was conducted to directly experience the Jihwa used in Danogut. Shamanic music education for majors has also been conducted since 2017. This education, which was held as part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of the Gangneung Dano Festival Fostering Project, was held for five days during the summer vacation every year at the Dano Festival Training Center. Due to the nature of the dano-gut rhythm, majors and students did not have the opportunity to learn it easily. However, by providing intensive education through this project,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learn the use and structure of the dano-gut jangdan, as well as the jangdan. In addition, since 2017, the shamanic music section has been newly established and implemented in the Samulnori contest. The shamanic music contest is expected to motivate the performers as well as contribute to the universalization of the gut rhythm and, furthermore, the creative succession resulting from it. Gangneung Danogut was recognized as a cultural heritage full of vitality because it was performed with universal validity in the present life by filtering out traces of the past based on tradition. The speed of change we will experience in the future will appear faster than the changes we have made so far, and efforts to preserve tradition and creative succession in these changes will have to be constantly contemplated and carried out in the future.

한국어

무형의 유산은 가변적이고, 가변적인 속성은 전승집단, 전승환경, 시대상 황, 전승자들의 생각에 따라 유동적으로 나타난다. 보존회 측면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은 전승이지만, 전승적 관점에서 가변적인 속성으로 인해 변이가 발생하고 있을 때, 여기서 전승자들의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본고는 강릉단오굿을 연행하고 전승하는 전승자 입장에서 바라본 강 릉단오굿 전승 집단에서 전통적 보존과 창조적 계승을 위해 행해진 사 례들을 살피고, 그 변화를 들여다보고자 했다. 먼저, 보존적 측면에서의 변화양상을 살펴보면 강릉단오굿은 2000년 까지 철저히 세습무의 주도하에 연행되었지만, 1999년 학습무가 등장하 면서부터 변화의 조짐이 보였다. 이후 제도적 교육에 의한 학습무가 상 당수 보존회원으로 입회하여 활동하면서 전승집단의 구성원이 세습무 계통보다 학습무 계통이 많아졌다. 이러한 전승집단의 변화는 2007년 강릉단오제 보존회 사단법인 설립으로 제도적인 시스템의 구축과 함께 학습체계의 변화로도 이어졌다. 전수교육의 실시와 더불어 단오제보존 회(무격부, 제례부, 관노가면극부) 회원을 대상으로 하는 워크숍 이외에 도 각부별 워크숍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초빙하여 전승자들 의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또한, 시대와 상황에 따라 연행 양상의 변화가 나타났다. 2000년대만 하 더라도 2007년에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신청했던 때라 동계올림픽 유치 를 위한 기원굿이 연행되었는가 하면, 메르스가 발생한 2015년과 코로나 사태인 2020년에는 마마와 홍역을 앓게 하는 손님신을 모시는 절차로 현재 는 새로운 질병을 막아달라는 의미의 손님굿을 확대하여 연행하기도 했다. 단오굿의 시간과 공간의 변화도 있었다. 2008년 이전까지 강릉단오 제는 5월 3일 신을 맞이하는 영신제를 시작으로 7일에 거행하는 신을 보내드리는 송신제를 축제 일정의 기준으로 삼고 5일간 열렸었다. 단오 굿도 마차가지로 5일 동안 행해진 것이다. 하지만 2005년 강릉단오제가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에 등재된 이후, 2008년부터 세계 적인 축제의 명성에 맞게 많은 시민들과 관람객들이 참여할 수 있는 방 안을 모색함으로써 음력 5월 1일부터 8일까지 축제기간을 확대하여 진행했다. 이에 맞추어 이듬해 단오굿의 일정도 하루 더 늘어나 5월 7일 에 송신제를 연행했던 것이 연장되어 8일에 행해졌으며 현재까지 이어 지고 있다. 이외에도 제단에 전광판을 설치하여 굿 연행자와 굿의 내용 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관객들의 이해를 높이고자 했다. 다음으로 창조적 계승을 위한 사례들을 살펴보면 컨텐츠 개발을 통 한 단오굿의 무대화 작업을 함으로써 강릉단오제의 여러 연희적 가치들 을 한 무대에서 쉽고 재미있게 전달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교육 활성화 사업으로 청소년 예술단인 수리예술단을 창설 운영하기도 하였으며, 일반인들에게는 단오굿 무속악을 사물놀이 장단과 결합하여 교육함과 동시에 지탈굿 교육을 실시하여 굿에서 연행 하는 무극의 이해도를 높이는가 하면, 단오굿에 쓰이는 지화를 직접 체 험해 보는 교육도 행해졌다. 전공자들을 위한 무속악 교육도 2017년부 터 실시했다. 강릉단오제 육성사업 문화예술교육의 일환으로 열린 이 교육은 매년 하계 방학 중 5일 동안 단오제 전수교육관에서 실시됐다. 단오굿 장단의 특성상 전공자들과 학생들은 쉽사리 익힐 기회가 마땅치 않았다. 하지만 이 사업을 통해 집중교육을 함으로써 단오굿 장단의 쓰 임과 구조 등을 비롯해 장단을 익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이다. 이 외에도 2017년부터 사물놀이 경연대회에 무속악 부문을 신설하여 시행 해왔다. 무속악 경연대회는 연행자들의 동기부여와 함께 굿 장단의 보 편화, 나아가서 그것으로 인한 창조적 계승에도 힘이 될 것이라 본다. 강릉단오굿이 생명력 넘치는 문화유산으로 인정받을 수 있었던 것은, 전통 을 기반으로 과거의 흔적으로부터 걸러 나와 현재의 삶 속에도 보편타당성을 갖고 행해지기에 가능했다. 지금까지의 변화보다 앞으로 우리가 겪을 변화의 속도는 더욱 빠르게 나타날 것이며, 이러한 변화 속에 전통성을 보존하고, 창 조적 계승을 위한 노력은 앞으로도 끊임없이 고민하고 행해져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강릉단오제와 단오굿
1) 강릉단오제의 개관
2) 강릉단오제와 단오굿의 제차
3. 보존적 측면에서의 변화 양상
1) 전승 집단과 학습체계의 변화
2) 단오굿 연행 양상의 변화
4. 창조적 계승을 위한 노력
1) 컨텐츠 개발을 통한 단오굿의 무대화
2) 교육사업의 활성화
3) 무속악 경연대회 신설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운석 Kim. Woon-Seok. 국가무형문화재 강릉단오제 무격부 이수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