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내포의 불교문화와 무형유산 論考

원문정보

A Study on Buddhist Culture and Intangible Heritage in Naepo

성기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to study the Buddhist culture and intangible heritage linked to such culture in Naepo, the northern west region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The area name Naepo is originated from Taekriji written by Lee Joong Hwan, a practical Confucianism scholar late in Chosun dynasty, which means a geographical thought. In this area called Naepo cultural region remains a unique folk entertainment art related with Buddhism. First, it is related with Han Sung Joon (1874~1941), a modern traditional artist related with the Buddhist temple Sudeoksa in Naepo. Han Sung Joon grew up in Hongseong, Chungcheongnamdo, and was enlightened of the principle of dance and rhythm through his experiences of the Buddhist rites in Sudeoksa and achieved the stage formation of Buddhist dance in 1930s. His granddaughter Han Young Sook was raised to the 27th artistic accomplishments processor of Buddhist dance with the dance she succeeded from him. His Buddhist dance originated from Naepo Buddhist culture has made various branches of style and extended its artistic frontier through the creative transformation process by such modern dancers as Choi Seung Hee and Cho Taek Won. Second, it is related with Naepo Yeongsanjae, an intangible Buddhist heritage in Naepo area, which was inherited from Beopryunsa Buddhist temple located in Suam mountain, Deoksan-myeon, Yesan-gun, Chungcheongnamdo province and carried on by the monk Bomyeong, the son of the monk Bangsangjeon who was a Buddhist chanting monk in Sudeoksa. Bomyong, the chief monk of Beopryunsa succeeded the Buddhist chant from the monk Daecheon, one of the chanting monks representing the Keum River Cultural Region based on the Buddhist rites of Sudeoksa, and studied under the monk Songam of Bongwonsa in Seoul, the head temple of Yeongsanjae. Naeopo Yeongsanjae of Beopryunsa carried on by the monk Bomyeong is characterized with the aesthetics of simpleness and elegance of Jungje Buddhist dance style, which are noticed in the aspect that they go with Han Sung Joon’s Junggoje traditional dance that has such mean aesthetics as simpleness and elegance. Third, it is related with Sangsansammae, a travelog of Gaya mountain in Naepo written by Yeheon Lee Cheol Hwan late in Chosun dynasty, which is highly valuable gleaming the Buddhist folk entertaining arts in Naepo area. Sangsansammae Lee Cheol Hwan wrote after his four-month long travel in Gaya mountain from October, 1753 to January, 1754 comment the female Buddhist monks’ music performance and puppet play, which are meaningfully read. In this travelog, he shows his feelings on the music stage performed by two female monks in Ilraksa and the puppet play done in Jeongsusam, which give us some idea that the female monks performing the Buddhist folk entertaining arts having been inherited in many temples in Gaya mountain, Naepo were pretty specialized and highly valuable artists. This study indicates that such aesthetics as simpleness and elegance dwelling both in Junggoje traditional dance and Jungje Naepo Yeongsanjae rooted in Naepo area are deeply related with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Naepo. In addition, it is also an important achievement of this study to understand that the intangible heritages remaining in Naepo cultural region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Buddhist culture spreading throughout in Gaya mountain.

한국어

본 논문은 충청남도 서북부 지역에 해당하는 내포지역의 불교문화 및 이와 연동된 무형유산을 연구한 것이다. ‘내포(內浦)’라는 지명은 조 선후기 실학자인 이중환의 『택리지(擇里志)』에서 연유된 것으로서, 지리적 개념을 내포하고 있다. 내포문화권으로 불리는 이 지역에는 불교와 연관한 독창적 민속예능이 잔존하고 있다. 우선 첫째, 내포의 고찰 수덕사와 매개된 근대 전통예인 한성준(韓成 俊, 1874~1941)과의 연관성을 들 수 있다. 충남 홍성에서 출생한 한성준 은 수덕사에 입산하여 불교 재의식을 접하고 춤과 장단의 원리를 터득 하여 1930년대 승무를 무대양식화하는 업적을 남겼다. 한성준의 손녀 딸 한영숙은 조부에게 이어받은 춤으로 1969년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예능보유자 반열에 올랐다. 내포 불교문화에게 발원된 한성준 승 무는 여러 갈래로 분화되었으며, 특히 신무용가 최승희·조택원을 통해 창조적 변용의 과정을 거치면서 예술적 지평이 확산되었다. 둘째, 내포지역의 대표적 불교 무형유산인 내포영산재(內浦靈山齋)가 있다. 충남 예산군 덕산면 수암산 자락에 위치한 법륜사에서 전승되고 있는 내포영산재는 수덕사 어산스님을 지낸 방상전 스님의 아들인 보명 스님에 의해 그 맥이 이어지고 있다. 법륜사 주지인 보명스님은 수덕사의 불교재의식을 토대로 금강문화권의 대표적 범패 스님인 대천스님을 사사 하고, 영산재의 본산인 서울 봉원사의 송암스님 문하를 거쳤다. 보명스님이 잇고 있는 법륜사의 내포영산재는 소박미와 단아함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중제(中制)의 특성은 정갈하고 단아하면서도 중도의 미감을 지닌 한 성준의 중고제 전통춤과도 결을 같이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셋째, 조선후기 예헌(例軒) 이철환(李喆煥)이 저술한 내포 가야산 유람기 『상산삼매(象山三昧)』는 내포지역의 불교 민속예능을 가늠케 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고 하겠다. 1753년 10월부터 1754년 1월까지 4개월간 가야산을 유람하고 남긴 『상산삼매』의 기록 중 불교 민속예능과 관련 여승들의 음악연주와 꼭두각시놀이에 대한 품평이 유의미하게 읽힌다. 이 책에서 이철환은 일락사의 두 여승의 음악연주, 정수암 여승의 음악연주, 그리고 정수암에서 연행된 꼭두각시놀이에 대한 감상 소회를 적고 있다. 내포 가야산의 여러 사찰에서 전승된 불교 민속예능의 주요 연행자인 여 승들이 매우 전문적이고 수준 높은 기예의 소유자였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내포지역을 근간으로 한 중고제 전통춤 내지 중제 내 포영산재 등에 공통적으로 투영되어 있는 소박하고 단아하며 정갈한 미감이 지역 고유의 향토적 특성과 무관치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내포문화권에 잔존하고 있는 무형유산이 가야산 일대에 분포한 불교문 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파악한 것도 중요한 성과라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序: 논의의 출발점
2. 내포불교의 역사적 흐름
3. 내포 불교문화와 한성준의 승무
1) 한성준 가무악 수련사찰, 수덕사
2) 내포 불교문화와 한성준 승무
3) 한성준 승무의 창안배경
4) 한영숙의 승무 및 <법열곡>
5) 한성준-한영숙 승무의 미학
4. 예산 법륜사와 내포영산재의 전승
1) 내포영산재의 기원
2) 내포영산재 전승내력
3) 내포영산재의 지역적 특징
5. 내포 가야산 유람기: 『상산삼매』의 불교예능
1)『상산삼매』의 저술배경
2)『상산삼매』의 불교예능 기록
6. 結: 내포 불교무형유산의 현재화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성기숙 Sung, Ki Sook.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