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남사당패의 성립과 그 역사적 전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Namsadang-pae (남사당패) and Its Historical Development

손태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Buddhist people, who had been unilaterally oppressed in the Joseon Dynasty, participated as the Monk Army (의승. 義僧)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later received certain recognition from the state. The primary thing such monks did was to rebuild temples that were burned out or destroyed due to the 1592’s War. According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ddhist monks and people around the temple engaged in the activities of the Jeolgeollip-pae (절걸립패. Temple Building Pungmul-pae) as one kind of Pungmul-pae (풍물패. 風物牌. percussion instrument music band) wide range. As a result,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people gathered around the temple without a certain place to go, and there was even a class of people who used to do Jeolgeollip. They were called “Nagi-pae” (나기패. 儺技牌. this is smiliar with Pungmul-pae) (Seungjeongwon Diary (승정원일기), 19th year of King Gojong (1882) November 19th) Meanwhile, the re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 (경복궁), which began in 1865, was conceived to be carried out by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people, and various performances were also requested or allowed to cheer the general people who made such voluntary labor. At that time, performances by Sadang-pae (사당패. 社堂牌), which had been unilaterally subject to arrest, were also held marvelously. Various performances at this construction site were widely held too at the civil place even after the labor evening. At that time, the most popular performance in these performances was the performance of Sadang-pae, and among them, the name of Sadang Baudeok-i (바우덕이) was the highest. These Sadang-pae mainly sang songs such as San-taryeong (산타 령), which are handed down today, when a Sadang sing the song, several Geosa (거사. 居士) each helding a small drum in hand go back and forth to the front with responding the song. With these public performances of the Sadang-pae, the Sadang-pae once emerged as a representative performance group of the era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ccordingly, a Namsadang-pae (남사당패. 男社堂牌) that imitated such a Sadang-pae was also established. These Namsadang-pae were originally located around the temple like Sadang-pae and were “Nagi-pae” so to speak Pungmul-pae, which mainly used to engage in Jeolgeollip-pae, and when Sadang-pae emerged as a representative performance group in the late Joseon Dynasty after performances at the reconstruction site of Gyeongbokgung Palace, they imitated these Sadang-paes. They made the so-called “Namsadang (남사당. 男社堂)” by dressing up Mudongs (무동. 舞童), boys who was already in their Pungmul, like girls and adults became like Geosas of Sadang-pae and participated in a performance group that sing Sadang-pae's songs. The performance method of the original Namsadang-pae so to speak “Wonnamsadang-pae” (원남사당패) is well represented in the testimony of Song Soon-gap (송순갑, 1911-2001), who was also engaged in this group in the past. (Hwang In-deok, Exploring the Foundation of Trditional Culture, 2019) However, after the collapse of Joseon, the Sadang-pae, which was once a representative performance group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became the object of criticism again and declined. In addition, Namsadang-pae that was established by imitating Sadang-pae rather than imitating Sadang-pae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kind of “Pannoreumgeollip-pae (판놀음걸립패)”. They visited villages and villages where entertainment was precious and solved overnight stay by performing various plays such as Pungmul, puppet play, mask play, foot-mask play, and magic. But, they were still “Namsadang-pae”. This is because there were Mudongs dressed up like girls as “Namsadangs” and just as Sadangs did prostitution, these “Namsadangs” continued to sell homo sex to adult men (usually farm hands). As modern society progressed and the crackdown and oppression of the Japanese ruler intensified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Sadang-pae disappeared around 1920 and the Namsadang-pae disappeared in the 1930s. After liberation, Namsadang-pae wanted to become a new performance group, but due to social changes after modern times, most of the traditional villages where their play was almost the only professional entertainment disappeared, and circus, movies, and Women’s Gukgeuk (여성국극) overwhelmed their traditional performances. Accordingly, Nam Un-ryong-pae (남운룡패), almost the last Namsadang-pae, was disbanded after the last performance in April 1953. The Namsadang-pae as a performance group has disappeared from history. Then, from 1960, their beings and performances began to be restored with the efforts of Shim Woo-seong (1936-2018). Accordingly, the fact that it is a voluntary civil performance group was greatly highlighted, and it is said that the history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Korea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wandering arts group in Korea. In addition, their performed repertories were also set up as a group that did almost all of Korea's representative traditional folk entertainment such as Pungmul, Beona (버나. plate spinning), tumbling, tightrope walking, mask play, and puppet play. It was not the Namsadang-pae as a historical group, but the Namsadang-pae that an ideal performance group that he was thinking of. One result is his A Study on Namsadang-pae (1974). However, the Namsadang-pae as a historical group has a history of about 100 years from 1865 to 1953. And high-level technic play such as tightrope walking and tumbling were not what they originally did, but were made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or requesting of the Gwangdae group (광대집단. an official and hereditary entertainer group in traditional society) men, who had traditionally specialized in them. In addition, he did not take a proper approach to the “Namsadang,” which was created by dressing up like a girl, the most important being in understanding Namsadang-pae, so he failed to properly explain the identity of the group,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dang-pae and Namsadang-pae. This negative aspects, such as “Namsadang,” may be due to the fact that he thought it could negatively affect their performances that he managed to restore. Although there are these problems, without Shim Woo-seong's efforts and activities, the Namsadang-pae would have completely disappeared from history, leaving only its name. Therefore, no one can keep up with Shim Woo-seong's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Namsadang-pae to this day. With Shim Woo-seong's efforts to restore the being of Namsadang-pae and its performance, the puppet play was designated as National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3 “Kkokdugaksi-nori (꼭두각시놀이)” in 1964, and it were renamed “Namsadang-nori (남사당놀이)” in 1988, so that the rest of the repertories could receive a certain protection basically at the national level. Today's “Namsadang-nori Preservation Society (남사당놀이 보존회)” in Seoul, which connects the Namsadang-pae of the traditional society, it is not necessary to have all the elements of the traditional society that Namsadang-pae had in the past. It only need to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performance of Namsadang-pae. All it needs to do is relate to past performances of Namsadang-pae who wandered through villages and villages with nothing so to speak withot “home and temple,” and who always wanted to show the best performances for ordinary people that rarely saw professional performances.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six performance repertories of Namsadang-pae set by Shim Woo-seong, it is hoped that foot-mask play, magic, dance, and Haegeum playing (해금 연주) that Namsadang-pae did in the past can be restored and performed as much as possible. No matter how good the intentions are, things related to a historical group should always be discussed based on the historical facts. This is true for folk entertainment history and ultimately for the group. Looking back today, the study of Namsadang-pae itself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Shim Woo-seong, but his opinion of Namsadang-pae was not an opinion of Namsadang-pae as a historical performance group, but an opinion of Namsadang-pae as an ideal performance group that he was viewing of. Even now, studies on Namsadang-pae as a historical performance group should be conducted properly.

한국어

조선시대에 들어 일방적으로 탄압받던 불교계는 임진왜란 때 의승(義僧)으로 참가함으로써 이후 국가로부터 일정한 인정을 받게 된다. 그러한 승려들이 일차적으로 하게 된 것은 임란 등으로 소실(燒失)되거 나 파괴된 사찰들을 재건하는 일이었다. 이에 조선 후기에는 승려나 사 찰 주변 사람들에 의한 절걸립패 활동이 광범위하게 이뤄졌다. 이 결과 조선 말에는 일정한 갈 곳도 없이 사찰 주변에 모여 있으며 절걸립 등이나 하던 사람들의 부류들까지 생기게 된다. 이들을 ‘나기패(儺技牌)’ 라 했다.(『승정원일기』, 고종 19년(1882) 11월 19일) 한편 1865년에 시작된 경복궁 중건 공사는 백성들의 자발적인 참여 에 의해 이뤄지는 것으로 구상되었고, 이러한 자발적인 노역(勞役)을 하는 일반 백성들을 위로하기 위한 각종 공연들도 동원되거나 허용되었 다. 이때 그동안 일방적으로 단속 대상이기만 했던 사당패들의 공연들 도 이뤄졌다. 이러한 공사장에서의 각종 공연들은 노역이 끝난 저녁 시 간 이후에도 민간의 곳곳에서 광범위하게 이뤄졌다. 당시 이러한 공연 들에서 가장 인기가 있었던 것은 사당패들의 공연이었고, 그 중에서도 사당 바우덕이의 이름은 높았다. 이들 사당패는 사당이 소리를 메기면 소고를 든 여러 거사들이 앞두리로 왔다갔다 하며 소리를 받는 오늘날 전승되는 산타령 같은 노래들을 주로 불렀다. 이러한 사당패의 공공연한 공연들로 조선 말 한때 사당패가 그 시대 의 대표적 공연집단으로 부상되었다. 이에 이러한 사당패를 흉내 낸 남 사당패도 성립된다. 이들 남사당패는 원래 사당패와 같이 절 주변에 있 으며 절걸립을 주로 하던 ‘나기패’ 곧 풍물패였는데, 사당패가 경복궁 중건 공사장에서의 공연들을 계기로 조선시대 말 하나의 대표적 공연집 단으로 급부상하자 이들 풍물패들이 사당패를 흉내 낸 것이다. 이들은 그들의 풍물에 이미 있던 남자아이인 무동을 여장(女裝)시켜 이른바 ‘남 사당’을 만들고, 어른들은 사당패의 거사가 되어 사당패의 노래를 부르는 하나의 공연집단으로 나선 것이다. 이러한 원래의 남다당패 곧 ‘원남사당 패’의 공연 모습은 과거 이러한 집단에서 활동하기도 했던 송순갑(1911∼ 2001)의 증언에 잘 나타나 있다.(황인덕, 『전승문화의 기반탐구』, 2019) 그러나 조선이 망하고 조선 말 한때 대표적 공연집단이기도 했던 사 당패도 다시 지탄의 대상이 되어 쇠퇴해 갔다. 그리고 이러한 사당패를 흉내 내어 성립되었던 남사당패도 종래처럼 사당패의 노래를 부르며 사 당패를 흉내 내기보다 점차 그들이 원래부터 하여 왔던 풍물을 앞세우고 인형극, 탈놀이, 발탈, 얼른(요술) 등 그들이 할 수 있었던 여러 공연 물들을 가능한 대로 갖추어 오락이 귀한 벽지의 마을과 마을을 찾아다 니며 하룻밤 숙식을 해결하는 일종의 ‘판놀음걸립패’로 변모하였다. 그래도 그들은 여전히 ‘남사당패’였다. ‘남사당’으로 분장한 무동들이 있었 고, 사당이 매음을 했듯 이들 ‘남사당’들이 성인 남자(대개 머슴)들을 상 대로 한 계간(鷄姦)을 파는 일도 이어졌기 때문이다. 근대사회가 진행되었고, 일제강점기로 들어 일제의 단속과 탄압도 심 화되자, 사당패는 1920년경에 사라졌고, 남사당패도 1930년대에는 사라졌다. 해방 후 남사당패는 포장무대 공연을 하는 등 새로운 공연집단이 되고자 했으나, 근대 이후의 사회 변화로 그들의 놀이가 거의 유일한 전문적 오락이었던 전통적 마을들도 대부분 사라졌고, 근대 이후의 여 러 오락물들인 서커스, 영화, 여성국극 등도 그들의 전통적 공연들을 압도하여 그들이 설만한 자리는 거의 없었다. 이에 거의 마지막 남사당 패라 할 수 있는 남운룡패도 1953년 4월 마지막 공연을 하고 해산되었다. 하나의 공연집단으로서의 남사당패는 역사상 사라진 것이다. 그러다 1960년부터 심우성(1936∼2018)의 노력으로 이들의 존재와 공연들이 복원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이들의 자발적인 민중적 공연집단 이란 점이 크게 부각되었고, 그 역사도 우리나라에 유랑예인집단이 생 긴 이래부터라는 우리나라의 역사와 거의 같다고 하여졌다. 그리고 이들의 공연 종목도 풍물, 버나(접시돌리기), 땅재주, 줄타기, 탈놀이, 인 형극 등 우리나라의 대표적 전통 민속예능들을 거의 모두 다 하는 집단 으로 설정되었다. 하나의 역사적 집단으로서의 남사당패가 아니라 그가 생각하고 있던 하나의 이상적 공연집단으로 그가 복원한 남사당패를 바 라본 것이다. 그 한 결과가 곧 그의 『남사당패 연구』(1974)이다. 그러나 하나의 역사적 집단으로서의 남사당패는 1865∼1953년 정도 의 100년 정도의 역사를 가진 집단이다. 그리고 줄타기와 땅재주 같은 고난도의 기예들은 그들이 원래하던 것이 아니고, 전통적으로 이를 전문적으로 해 왔던 광대집단계통 사람들이 남사당패에 참가하거나 동원 되는 과정에서 이뤄진 것들이었다. 또 그는 남사당패를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무동인 남자아이를 여 장시켜 만든 ‘남사당’에 대한 제대로 된 접근을 하지 않아 사당패와 남 사당패의 관계 등 이 집단의 정체를 제대로 해명할 수 있는 길로 나아 가지 못했다. ‘남사당’과 같은 그런 부정적인 면은 가까스로 복원한 그들의 공연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여겼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이 있지만, 심우성의 이러한 노력과 활동이 없었다면, 남사당패는 그 이름만 남기고 역사상에서 완전히 사라졌을 것이다. 그러므로 남사당패 연구에서의 심우성의 업적을 현재까지도 그 누구도 따 라갈 수 없다. 심우성의 남사당패 존재와 공연에 대한 복원 노력으로 남사당패의 공연 종목들 중 인형극은 1964년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3호 ‘꼭두각시 놀음’으로 지정되었고, 나머지 종목들도 1988년 이 ‘꼭두각시놀음’이 ‘남 사당놀이’로 명칭 변경됨으로써 국가적 차원에서 기본적으로 일정한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전통사회의 남사당패를 잇는 오늘날의 서울의 ‘남사당놀이 보존회’에 는 당연히 과거 남사당이 지녔던 전통사회의 여러 요소들은 모두 다 가질 필요가 없다. 오직 남사당패의 공연과 관계되는 것만 가지면 된다. 이 단체는 과거 ‘집도 절도 없이’ 공연 외에는 아무것도 없이 마을과 마 을을 떠돌며 그들 외에는 전문적 공연을 거의 보지 못하는 일반 서민들 을 상대로 그들이 할 수 있었던 모든 것들을 가능한 한 갖추어 언제나 최선과 최고의 공연을 보여 주고자 했던 과거 남사당패의 공연과 관계 되는 것만 이으면 되는 것이다. 또 한편 심우성이 설정한 남사당패의 공연 종목 6개 외에도 과거 남사당패들이 하였던 발탈, 얼른(요술), 춤, 해금 연구 등도 가능한 대로 복원하여 공연할 수 있었으면 한다. 아무리 좋은 의도라 하더라도 하나의 역사적 집단과 관계되는 것들 은 언제나 그 역사적 사실에 의거해 논의되어야 한다. 민속예능사적으로도 그러하고 궁극적으로 그 집단을 위해서도 그러하다. 오늘날 돌아 보면, 심우성이 없었다면 남사당패 연구 자체부터가 제대로 이뤄질 수 없었겠지만, 그의 남사당패 연구는 하나의 역사적 공연집단으로서의 남사당패 연구이기보다는 그가 가진 하나의 이상적 공연집단으로 바라본 남사당패 연구였다. 지금이라도 하나의 역사적 공연집단으로서의 남사 당패에 대한 연구들이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조선 말 남사당패 성립의 사회문화사적 배경
3. 남사당패에 대한 역사적 연구
1) 남사당패의 성립; ‘원남사당패’의 모습
2) 1920‧30년대의 남사당패
3) 1945년 해방 이후의 남사당패
4. 남사당패의 민속예능사적 의의
5. 남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손태도 Son, Tae-do. 호서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3,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